RSAC2023의 기조는 ‘함께하면 강해진다(Stronger Together)’다. 진화하는 위협에 대해 서로 협력하며 대응하는 것의 중요성을 담았다.
24일부터 27일까지 나흘간 진행되는 행사에는 500개 이상의 발표 및 네트워크, 세미나 등 이벤트가 마련됐다. 이벤트별로 입장 패스의 등급(풀 콘퍼런스, 엑스포 플러스, 엑스포, 온디멘드)에 따라 참여할 수 있다.
사이버보안 업계 주요 리더 기업들 대부분이 행사에 참여했다. 최고 등급인 다이아몬드 스폰서로는 시스코 시스템즈(이하 시스코), RSA시큐리티, VM웨어 등 3개사가 함께했고 플래티넘 스폰서로는 아카마이, 포티넷, 포트라(구 헬프시스템즈), IBM, 맨디언트-구글클라우드, 마이크로소프트(MS) 시큐리티, 팔로알토네트웍스, 스플렁크, 트렐릭스 등이다.
행사 첫날인 24일에는 행사에 참여하는 스타트업 중 가장 혁신적인 기술을 선정하는 혁신 샌드박스 콘테스트와 일부 발표만 진행됐다. RSAC2023에서 많은 기대가 집중되는 기업 전시 부스는 25일 오전 10시에 문을 열었다.
RSAC2023이 진행되는 모스콘센터는 남(South), 북(North), 서(West) 등 3개 지상 건물로 이뤄졌다. 전시는 남·북관에서 진행됐는데 지하로는 이어져 있어서 하나의 공간처럼 오갈 수 있게 조성됐다.
참여 기업들은 전시 부스를 참관객들이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꾸몄다. 어떤 기업은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했는가 하면 문화공연을 진행하는 곳도 있었다. 일부 기업에서는 참관객에게 레고나 스타워즈 광선검을 나눠주는 곳도 있었다. 매력적인 선물을 제공하는 곳에는 많은 참관객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쉬이 볼 수 없는 곳도 전시회에 참가했다. 미국 연방수사국(FBI), 국가안보국(NSA), 사이버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CISA) 등이다. 한국으로 치자면 국가정보원이 사이버보안 행사에 참가해 직접 소통하는 상황이다.
세계 각지의 사이버보안 전문가들이 모인 가운데, 한국인도 드물지 않게 목격할 수 있었다. 25일 오전 팔로알토네트웍스 최고제품책임자(CPO)인 리 클라리치(Lee Klarich) 최고제품책임자(CPO)의 기조연설 이후에는 SK쉴더스 박진효 대표가 발표장을 떠나는 모습이 보이기도 했다. 박 대표는 SK쉴더스 주요 임원들과 함께 행사장을 찾았다.
한국 기업들도 전시회에 참여했다. 지니언스(북-5508), 모니터랩(북-5316), 샌즈랩(남-2353) 등 3개 기업이 개별 부스를 마련했다. 한국정보보호협회(KISIA)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한국 공동관(남-634)에는 넷앤드, 스텔스솔루션, 시큐레터, SSNC, AI스페라, 엑사비스, 위즈코리아, EYL, 쿼드마이너, 프라이빗테크놀로지 등 10개 기업이 함께 전시 공간을 조성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IT클로즈업] ‘망 사용료 논쟁’ MWC서 재점화될까…“주요국 입장 예의주시해야”
2025-02-21 11:30:17[DD퇴근길] 제로트러스트 실제 적용사례·정부정책 한눈에
2025-02-20 17:15:10"KT·네카오·메가존 합류"…ICT기업 품은 한경협, DX 혁신 꿈꾼다
2025-02-20 15:34:56SM·카카오엔터 합작 英 보이그룹 '디어앨리스' 공식 데뷔
2025-02-21 17:28:39[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29CM, 상반기 ‘이구홈위크’ 전년비 거래액 2배 돌파…“주방용품·홈 패브릭 상품 추천 적중”
2025-02-21 16:24:36위메이드 ‘레전드오브이미르’, 구글 플레이 인기 1위 달성
2025-02-21 16:16:01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탑’, 일본 현지 CBT 시작
2025-02-21 14:55:42"D.P. 신드롬 한 번 더"…한준희 신작 '로드', 넷플릭스로?
2025-02-21 13:2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