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SK온이 주요 파트너 기업들과 새만금에 배터리 핵심 소재 생산시설을 만든다. 배터리 원소재 공급망 내재화, 지역경제 활성화 등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SK온, 국내 최대 양극재 기업 에코프로, 글로벌 전구체 기업 중국 GEM(거린메이)이 참여한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는 오는 24일 전북 군산시 라마다 호텔에서 전구체 생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한다고 23일 발표했다. 이날 3사는 협약에 앞서 서울 종로구 SK서린사옥에서 전구체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인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 설립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3사는 2024년 완공 목표로 최대 1조2100억원을 투자, 연간 생산량 5만톤 수준의 전구체 공장을 연내 착공할 계획이다. 지이엠코리아는 전구체 생산 능력을 순차적으로 확대하면서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인력을 고용할 예정이다.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이차전지 핵심 소재들의 화합물인 전구체는 양극재 원가의 65%~7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소재다. 3사가 목표로 한 전구체 5만톤은 전기차 30만여대(1대당 105KWh기준)에 필요한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새만금공장 전구체는 인도네시아에 위치한 별도의 3사 합작법인에서 생산하는 니켈 중간재(MHP•Nickel Mixed Hydroxide Precipitate)를 원료로 사용할 예정이다. 3사는 지난해 11월 니켈 중간재 생산법인 설립 협약을 체결하고 ‘24년 3분기부터 연간 순수 니켈 약 3만톤에 해당하는 MHP를 양산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3사는 새만금개발청의 지원 정책과 보조금 혜택, 수출입 관련 내륙운송 및 해운 등 물류 인프라를 비롯해 다양한 운영상의 이점을 고려해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편 SK온은 원소재 공급망 강화를 위해 다양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지난해 칠레 SQM, 호주 업체들인 레이크 리소스, 글로벌 리튬 등 리튬생산기업들과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리튬도 양극재 핵심 원료다.
음극재는 지난 7월 호주 시라와 천연 흑연 수급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올해 1월 미국 우르빅스와는 음극재 공동개발협약(JDA) 체결 소식을 알리기도 했다. 이 외에 스위스 글렌코어, 포스코홀딩스 등 다양한 기업들과 원소재 협력을 맺고 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000만원 탈취 신고, SKT 해킹 관련 가능성 적어…스미싱 피해사례일듯
2025-04-28 18:12:46케이블TV 만난 정동영 “지역채널은 곧 지역공동체, 규제개선 시급”
2025-04-28 17:26:12이진숙 방통위원장, 미국 순방…FCC위원장·오픈AI CSO 만난다
2025-04-28 17:22:56[DD퇴근길] SKT, 유심교체 시작…매장 오픈런 이어 온라인도 북새통
2025-04-28 17:21:14“SKT 유심 공급, 내달 중순까지 어려워”…e심 사용 권고
2025-04-28 15:59:10쇼핑엔티, 프리미엄 남성 패션 상품에 힘준다…獨 ‘골드파일’ 론칭
2025-04-28 14:57:30카카오, AI '카나나'로 실적 부진 돌파하나…"CBT 출시 임박"
2025-04-28 17:07:46IT·게임업계도 ‘SKT 유심 주의보’…네카오, 임직원에 교체 권고
2025-04-28 16:38:34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국제대회 ‘PGS 7’ 개최
2025-04-28 15:21:41[인터뷰] 크래프톤 장병규 “수년간 기른 선구안, ‘펍지’ 이을 메가 IP 노린다”
2025-04-28 12:00:00웹툰 '신의 탑' 외전 '우렉 마지노' 나온다…"28일 공개"
2025-04-28 11:08:14딜라이트룸, ICEIC서 호흡 분석 AI 모델 공개…"수면패턴 정밀 분석"
2025-04-28 11: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