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e비즈*솔루션

AI 시대 ‘게임 체인저’된 챗GPT, 이종호 장관 “국가적 대응력 키워야”

8일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아지트서 열린 제3회 AI 최고위 전략대회 전경
8일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아지트서 열린 제3회 AI 최고위 전략대회 전경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오픈AI의 ‘챗GPT’는 AI 시대의 게임 체인저가 불릴 만큼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큰 규모로 투자해 챗GPT와 같은 초거대 AI를 선보이는 가운데 우리도 민·관의 역량을 총 결집해서 국가적 대응력을 높이는 것이 AI 산업, 나아가 국가 경쟁력 전반에서 중요한 상황이다.”(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제3회 인공지능(AI) 최고위 전략대회를 개최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을 비롯해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 백상엽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등이 행사에 참여했다.

이날 행사는 오픈AI가 선보인 대화형 AI 서비스 ‘챗GPT’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끌고 있는 챗GPT에 대응하는 한국형 AI 기술 발전과 이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정부의 지원 등이 논의됐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난 11월 오픈AI가 챗GPT를 출시한 이래로 3개월도 되지 않아 1억명의 가입자를 돌파하는 등 AI 시대의 게임 체인저라고 불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챗GPT는 새로운 AI 기술이라기보다는 그간 축적한 기술을 모아 대규모 데이터와 컴퓨팅 파워를 통해 초거대 AI 모델을 학습시킨 결과물로 볼 수 있다. 정부가 그간 추진해온 데이터 구축·개방, 컴퓨팅 인프라 고도화 등 정책들 모두가 초거대 AI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어 우리나라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이 됐다”고 평가했다.
왼쪽부터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
왼쪽부터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

이 장관은 국내 기업들도 초거대 AI 개발 및 활용을 시작하는 가운데 한국어와 특화 전문영역 등을 중심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매우 큰 규모로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민관의 협력으로 국가적 대응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지금은 AI 산업, 나아가 국가경쟁력 전반에서 볼 때 굉장히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날 회의에서 나오는 제언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정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개인정보 관련 규제기관장으로서 행사에 참석한 고학수 위원장도 말을 보탰다. 2022년 10월 개인정보위원장으로 선임된 고 위원장은 학회 및 법조계에서 AI 전문가로 활동해온 인물이다.

고 위원장은 “초거대 AI 개발을 위해서는 많은,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데이터 중 활용도가 높은 것은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다. 개인정보를 어떤 식으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며 유용하게 활용할지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며 “개인정보위는 개개인이 AI를 신뢰하며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화된 정책 방향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산업계에서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카카오브레인, 뤼튼 등이 발표를 진행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백상엽 대표가 챗GPT에 대응하는 국내 기업들의 대응 현황을 공유하고 카카오브레인에서 개발한 언어모델 AI ‘KoGPT’, 이미지 생성 AI ‘칼로(Carlo)’ 등을 시연했다.

백상엽 대표는 “그 유명한 넷플릭스도 100만명의 사용자를 확보하는 데 3년 이상 걸렸다. 챗GPT는 100만명에 5일, 1000만명 확보에 겨우 40일 걸렸다. 챗GPT가 몰고 올 일상의 변화, 산업의 변화는 잠재력이 크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충격받았던 것은, 챗GPT가 데이터 라벨러 40여명이, 1년간 작업한 결과물이라는 점”이라며 “엄청나게 많은 인프라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 투자를 최적화하고 전개하느냐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줬다”고 피력했다.

백 대표는 “카카오, 네이버, SK텔레콤, LG, KT 등 국내 대기업이 많은 자본을 통해 초거대 AI 모델을 만들었지만 챗GPT와 같은 응용 가능한 수준의 서비스를 만들지 못했다는 것을 후회한다”며 “앞으로 다시는 이런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쫓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생성형 AI 서비스 기업 뤼튼의 이세영 대표는 “생성 AI 생태계는 모델 개발사, 모델을 응용하는 사람, 모델 서비스를 사용하는 모두가 성공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라고 보고 있다”며 “현재 대기업 주도로 AI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데 한국에서도 생성 AI 응용 생태계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AI의 실제 활용도를 알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I) 접근성을 강화하거나 적극적인 오픈소스 활용을 제시했다. 또 생성 AI가 큰 효과를 낼 수 있는 영역의 경우 보다 적극적으로 AI 도입을 검토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더해 “혁신 스타트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계속해서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 뤼튼도 정말 수많은 생성 AI 서비스를 시도했고, 지금도 많은 실무자들의 업무에 특화된 교육 환경에서 특화된 제품과 함께 여러 도전을 이어가는 중이다. 이런 도전의 과정에서 API 지원 사업이나 고성능컴퓨팅(HPC) 지원, AI 개발자 육성 등 초거대 AI 생태계가 활성화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는 “네이버는 AI 분야에 진심을 갖고 투자해왔다. 그 투자 규모는 사운을 걸었다 싶을 정도다. 오픈AI가 GPT-3 발표한 이후 다음 다음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나 구글보다도 먼저 GPT-3 모델 한국어 모형을 만들었다. 오픈AI보다 한국어를 6500배 더 많이 활용한 만큼 한국어로는 더 좋은 퍼포먼스를 제공할 수 있는 GPT-3 모델을 학습시켰다. 기술 격차는 크게 좁혀진 상태”라고 말했다.

AI 산업이 성숙 단계에 올랐다고 평가한 김유원 대표는 “앞으로는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누가 만들어내느냐가 중요한 단계에 이르렀다고 생각한다”며 “AI가 앞으로 세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알 수 없다. 많은 스타트업, 중소기업, 협력사와 함께 선순환하는 생태계를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