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클라우드

[인터뷰] ‘선택권 다양화’에 집중하는 오라클··· “이제는 분산 클라우드”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구름은 형태나 특징 등에 따라 여러 이름을 불린다. 이는 정보기술(IT) 환경의 표준으로 자리한 클라우드 역시 마찬가지다. 크게는 퍼블릭과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구분되는데, 복수의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멀티 클라우드, 온프렘이나 퍼블릭·프라이빗 등을 함께 쓴다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다. 그리고 여기서 나아가 ‘분산 클라우드(Distributed Cloud)’라는 개념도 주목받고 있다.

한국오라클 장성우 전무는 <디지털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분산 클라우드를 두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기본 골자는 같으나 각 시스템을 보다 유기적으로, 잘 연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접근방법과 현상”이라고 소개했다. 보다 정교해진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라고 생각해도 틀린 해석은 아니라고 밝혔다.

◆온프레미스에서 퍼블릭으로··· 확산되는 클라우드

가장 대중적인 형태의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다. 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S 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OCI) 등이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CSP)다.

장 전무는 “과거에는 고객이 서버, 스토리지, 거기에 탑재하는 소프트웨어(SW)까지 모두 직접 구매했다. 그것 말고는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막대한 초기 비용이 큰 부담이다. 그래서 기업이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서버나 스토리지 등은 다 구비해둔 뒤 ‘고객들은 우리가 구축해둔 것 쓰기만 하면 된다’고 한 게 클라우드의 태동”이라고 말했다.

다만 최근에는 하나의 시스템만 이용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는 목소리가 많이 나오기 시작했다. 단일 클라우드 이용이 비용 효율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을 취하는 기업들이 대부분이다. 클라우드 업계 대부분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강조하는 배경이다.

이런 가운데 장 전무는 어느 한 유형의 시스템이 절대적인 정답이 될 수는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초기 도입 비용이 비싸더라도 온프레미스를 유지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반대로 클라우드를 통해 도입 비용을 아끼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스타트업은 대부분 퍼블릭 클라우드로 사업을 시작한다. 온프레미스를 사는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 또 온프레미스를 보유 중인 대규모 기업들은 인프라르 사두고도 놀리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온프레미스냐, 클라우드냐는 목적을 위한 수단이다. 어떤 환경이 자신에게 적합한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점점 더 다양해지는 니즈, ‘고객 선택권 보장’이 업계 화두

퍼블릭 클라우드의 경우 여러 장점을 제공하지만 모든 기업이 이를 이용할 수는 없다. 기업의 기밀 자료를 외부 업체에 맡기지 못한다든지, 정부 규제 때문에 어쩔 수 없다든지 등의 이유는 다양하다. 여기서 등장한 것이 프라이빗 클라우드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업의 내부망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CSP)가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형태다. 오라클의 클라우드 앳 커스터머나 OCI 전용 리전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런 가운데 최근 오라클은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온프레미스로 한발자국 나아간, ‘알로이(Alloy)’에 대한 청사진을 밝혔다.

지난 10월 진행된 연례 콘퍼런스 ‘오라클 클라우드 월드(OCW) 2022’에서 처음 이름이 등장한 알로이는 기존 오라클이 제공하던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더 나아가, 고객의 온프레미스를 클라우드와 더 가깝게 연결하고 궁극적으로 자체 클라우드 사업까지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를 두고 있다.

장 전무는 “기존의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하드웨어가 고객의 데이터센터에 있다고는 하지만 오라클의 자산이다. 고객이 원하는 대로 커스터마이징하는 데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다. 오라클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커스터마이징하거나, 본인의 서비스와 결합하는 등의 니즈가 많았기에 알로이를 통해 이를 허용하고자 한다는 것이 오라클의 방향”이라고 피력했다.

최근에는 온프레미스를 클라우드처럼 활용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센터(SDDC)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알로이는 클라우드를 온프레미스처럼 쓰고자 하는 니즈에 대응하는 만큼, SDDC의 반대편에 놓여 있는 개념이라고도 볼 수 있다.

특히 오라클은 알로이를 통해 ‘주문자상표부착(OEM) 클라우드’ 사업도 전개한다. 자체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기는 어려운 기업에게 인프라를 제공, 해당 기업이 자사의 브랜드로 클라우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전략이다.

그는 “고유의 서비스나 개발 역량을 많이 축적한 기업이라면 오라클이 제공하는 코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사업을 전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며 “알로이가 구체적으로 어디까지의 커스터마이징을 허용할지 등은 내년 초에 구체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핵심은 다양한 선택권··· “고객 니즈에 따른 분산 클라우드”

장 전무는 “클라우드가 지나치게 비싸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초창기 클라우드가 비용 효율적이라는 말에 무작정 도입했던 기업 중 일부는 온프레미스 대비 큰 비용에 놀라는 중”이라며 ‘클라우드 만능주의’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경계어린 목소리도 나오는 중이라고 전했다.

가령 대기업의 핵심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 활용률이 어마어마한데, 이를 고민 없이 모두 클라우드로 대체한다는 것은 총소유비용(TCO)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그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를 구매했는데 10~20% 남짓만 사용한다면 클라우드를, 50~70%를 사용한다면 온프레미스가 더 효율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며 “온프레미스를 유지해야 하는 사례도 있다. 금융의 계정계나 공장의 제조실행시스템(MES) 이 대표적인 예시다. 이들도 점차 클라우드로 전환되는 추세이나 아직 전면적인 전환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서 “오라클은 고객에게 보다 많은 선택권을 제공하는 기업이 되고자 한다. 온프레미스, 퍼블릭, 프라이빗 등 특정 환경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 최적의 환경을 지원코자 한다. 유럽연합(EU)에서 각광받고 있는 소버린(Sovereign) 클라우드도 그중 하나”라고 말했다.

오라클은 데이터베이스(DB)로 성장한 기업으로서, 온프레미스 분야에서 특장점을 지니고 있는 기업이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은 클라우드 사업에 올인했다. 퍼블릭·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이어 알로이까지, 오라클이 강조하는 분산 클라우드의 윤곽이 보다 구체화될 전망이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