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미국 증시 급등에 따른 훈풍으로 14일 마감된 국내 증시도 모처럼 오랜만에 강한 상승세로 마감했다. 또한 원-달러 환율도 1430원대 이하로 떨어진 1428.50원으로 마감돼 외환시장의 불안도 다소 누그러졌다.
무엇보다 이날 시장의 관심사는 전날 투자자들의 패닉을 부른 카카오 그룹 주들의 반등 여부였는데, 다행히 시장의 상승 분위기에 힘입어 반등에는 성공했다.
물론 '철회'인지 '연기'인지는 분명한 메시지가 따로 나오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연기'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게 증권가 및 관련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카카오뱅크가 5.74% 상승한 1만7500원으로, 카카오페이는 4.94% 오른 3만6100원에 각각 마감했다. 카카오는 8.67%, 카카에게임즈는 9.44% 상승해 상대적으로 카카오 금융주들보다는 상승 탄력이 더 강했다.
카카오 금융주들은 개인들이 반등에 따른 매도가 많았다.
이날 카카오뱅크는 외국인과 기관이 모두 순매수를 보였지만 외왼(1.8만주)보다는 기관(50만주)의 매수세가 강했고, 개인들은 51만주 순매도를 보였다. 카카오페이 역시 외국인(2.5만주)와 기관(3.7만주) 은 순매수를, 개인(5.9만주)은 순매도로 대응했다.
전체적으로보면,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가 이날 4~5%대의 반등이 나왔지만 앞으로도 이 가격대에서 하방경직성을 가지면 반등을 시도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 강하다.
증권가에서 최근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의 목표 주가를 대폭 하향 조정한데다 눈에 띠는 실적 개선 등 특별한 반전의 모멘텀을 당장 제시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카카오페이의 경우, 2대 주주(34.68%, 4601만주)인 알리페이가 기존 보유 물량을 대거 시장에 쏟아낼 가능성이 있는 이른바 '오버행' 이슈가 여전히 남아있다는 점이 변수로 지목되고 있다. 오버행 우려를 걷어내려면 무엇보다 코스피 시장 전체적인 분위기가 좋아야한다는 지적이다.
또 카카오페이는 내달 3일에 1년 보호예수의무가 끝나는 우리사주의 강제 청산(반대매매) 리스크도 관리해야하는 입장이다. 전날 카카오페이는 직원보호를 위해 증권금융에 우리사주 반대매매 방어를 위한 145억원 규모의 담보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반등으로 카카오그룹주들은 한숨은 돌렸지만 여전히 긴장 상황은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카카오그룹주의 급격한 낙폭에 비하면 이날 주가 반등만으로 회복을 논하기에는 아직 너무 먼 얘기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은행, 18일 알뜰폰 서비스 정식 출시…청소년 셀프 개통으로 차별화
2025-04-18 13:29:18과기정통AI부 설치법, 당론 채택될까…ICT 거버넌스 개편 논의 본궤도
2025-04-18 13:29:11SK브로드밴드, K리그2 생중계로 지역밀착형 미디어 역할 강화
2025-04-18 09:16:40“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네이버-컬리, 이커머스 분야서 전방위 협업…“시너지 확대 기대”
2025-04-18 11:11:27무신사 뷰티, '주술회전' 소환…주미소 컬래버 마스크 출시
2025-04-18 09:16:57"공개일 유출 의혹에 미정이라더니"…디즈니+, '나인퍼즐' 5월21일 공개
2025-04-17 18:06:10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민주당 게임특위, “등급분류 전면 개편·질병코드 대응 강화”
2025-04-17 17:20:29[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