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양원모 기자] 평일 퇴근 시간대 지하철 1호선 일부 구간의 LTE 평균 속도가 유튜브 사용이 어려울 만큼 느리다는 지적이 나왔다.
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퇴근 시간대인 오후 6시부터 7시 30분 사이 인천 방면 1호선 철도 신도림~부평 구간의 LTE 평균 속도를 자체 조사한 결과, 해당 구간에서의 평균 영상 다운로드 속도는 0.80Mbps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1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1 통신서비스 품질 평가’ 평균 수치인 171.70Mbps(서울~수도권 구간)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과기부에 따르면 지하철 객차 전체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217.92Mbps, 지하철 역사 전체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330.29Mbps였다.
권역별 지하철 다운로드 속도는 ▲서울-수도권 171.70Mbps ▲부산 240.20Mbps ▲대구 226.43Mbps ▲대구 226.43Mpbs ▲인천 279.08Mbps ▲광주 331.95Mbps ▲대전 258.86Mbps였다.
박 의원 측은 “출·퇴근 시간대에 승객이 많이 몰리는 것을 고려해도, 승객이 휴대전화로 카카오톡 메신저나 유튜브 영상 시청조차 사용하기 어려운 정도의 수치가 나타나 통신사의 중계기 증설 등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과기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지하철 품질 측정 방식이 출퇴근 시간을 특정해 측정하지 않았고, 특정 시간을 정해 노선별 전체 역사를 다니며 평균을 내다보니 평균의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지상 구간을 다니는 지하철의 경우 플랫폼별 중계기가 아니라 주변 건물 등의 중계기를 활용하고, 출·퇴근 시간대에 승객이 한꺼번에 몰려 속도가 낮게 나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인천과 서울을 잇는 1호선의 경우 전 구간이 지하 구간 없이 지상 구간인데다,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승객의 다수는 출퇴근 시간대에 지하철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과기부 해명을 납득할 수 없다”며 “정확한 품질 평가와 저품질 지역에 대한 개선 등을 위해 과기부 및 통신 3사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측정은 퇴근 시간대 신도림~부평 구간 지하철 내부에서 NIA의 LTE 품질 측정 배포 앱으로 평일 오후 6시 47~7시 4분 사이 2분 간격 총 9회 진행됐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계기 정보보호 투자 확대방안 논의
2025-05-22 14:00:00SKT, 신규 가입자 모집 재개되나…유심교체 3일간 100만명
2025-05-22 11:29:55KT, 전국 공중전화부스 개조해 ‘스마트 안전 쉼터’ 만든다
2025-05-22 09:35:16SKT 해킹은 北 소행?…과기정통부 "확인된 바 없어"
2025-05-21 17:05:11네오위즈, 'P의 거짓' DLC 게임 플레이 영상 공개
2025-05-22 13:27:40"Z세대 대학 축제에 뜬다"…스푼, 목소리 소개팅 이벤트 개최
2025-05-22 10:54:55예스24 독자의 선택 "새 대통령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은"
2025-05-22 10:4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