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선제 투자한 韓 배터리, 위기이자 기회
- 여야, 미국과 협상 촉구…필요 시 입법도 시사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서명하면서 전기차 산업에 후폭풍이 크다. 국내 업체들도 직간접적인 영향권에 들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 당장 북미 시장 공략에 차질이 생긴 현대차를 비롯해 국내 배터리 3사와 소재, 장비들도 대응 모색에 나선 상태다.
IRA는 기후변화 대응과 의료보장 확충, 대기업 증세 등이 골자다. 이중 기후변화 범주에서 전기차 관련 조항이 등장한다. 우선 북미에서 제작된 전기차만 보조금 대상으로 지정된다. 일정 요건 충족 시 신차는 최대 7500달러(약 994만원), 중고차는 최대 4000달러(약 530만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내년 1월부터는 배터리 소재와 부품에 대해 북미 지역 생산 및 조립 최소 비율이 2023년 50%에서 2029년 100%를 충족해야 한다. 아울러 배터리에 들어가는 광물 채굴과 제련이 북미 및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에서 2023년 40% 이상,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80% 이상 이뤄져야 한다. 원재료 시장을 장악한 중국 견제를 위한 조치지만 완성차업체와 배터리 제조사로도 불똥이 튀었다.
향후 세부사항 조율이 전망되지만 큰 틀은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중국의 리튬 코발트 흑연 등 배터리 주요 메탈 제련 비중은 60~70%에 달한다. 과거부터 중국 정부 차원에서 아프리카, 남미 등 광산을 대거 사들인 결과다. 전 세계 광물 총량은 정해져 있는 만큼 단기간에 중국 손아귀에서 벗어나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미국 자동차 회사마저 불만은 내비쳤다.
우리나라에서는 현대차그룹이 날벼락을 맞았다. 19일(현지시각) 미국 연방국세청(IRS)이 발표한 ‘IRA 법안에 따라 세액공제 받을 수 있는 21개 차종’에 한국 생산되는 현대차 ‘아이오닉5’, 기아 ‘EV6’ 등이 제외됐다. 이외 코나EV, GV60, 니로EV 등도 같은 신세다.
앞서 현대차는 55억달러(약 7조2600억원)를 들여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공장을 짓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가동까지 2~3년이 필요하다는 점. 현대차가 목표 시점으로 잡은 2025년 상반기까지 현지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는 의미다.
오는 11월부터 앨라배마 라인 전환을 통해 GV70 미국 생산에 돌입하지만 아이오닉 시리즈 등 주력 제품과는 별개다. 현대차는 앨라바마 공장에서 다른 전기차 모델을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지지만 노조 협의, 부품 조달 등 해결 과제가 많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FAST는 무료 OTT?…“뉴 아이디, 스크린 기반 브랜드로 도약”
2025-04-26 07:00:00[DD퇴근길] 트럼프 주니어, 韓 찾는다…정용진 초청에 재계 총수 면담
2025-04-25 17:03:56SKT, 해킹사태 수습 ‘시험대’...“진상규명은 아직, 이용자 보호 집중”(종합)
2025-04-25 14:45:57신세계라이브쇼핑, 울릉도 관광 활성화 도모…“차별화된 여행 상품 운영”
2025-04-25 14:08:47[일문일답] SKT “진상규명 기다려달라...2중 3중 이용자 보호 집중”
2025-04-25 14:02:03[DD's톡] 'SKT, 카카오 지분 매각'에 양사 주가 희비 엇갈려
2025-04-25 11:31:10구글 모회사 알파벳, 1분기 '깜짝 실적'…광고 부문 성장 견인
2025-04-25 17:09:06경주 개관 미디어아트 전시관, '덱스터' 자회사가 만든다
2025-04-25 16:39:44[콘텐츠뷰] "겹사돈·전공의 미화 논란?"…정면돌파 택한 '언슬전생'
2025-04-25 16:02:21'2초 노출에 2500만원'…웹툰 플랫폼, 콘텐츠 넘어 '광고 신시장' 연다
2025-04-25 15:59:30MS, 혐한 논란에 사흘 만 공식 입장… “출시 지연에 사과”
2025-04-25 14:02:42[DD's톡] 고개 못 드는 엔씨 주가… ‘아이온2’가 구할까
2025-04-25 13:5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