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의 날 앞두고…삼성전자·애플, 재활용 정책 발표
- 에코슈머·그린슈머 확장에…작년 리퍼비시 스마트폰 시장 성장세
[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환경 오염으로 인한 기후 변화가 지속하면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스마트폰 제조사 역시 각종 친환경 정책을 앞세우고 있다. 친환경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리퍼비시 스마트폰 시장이 확대하기도 했다.
◆재활용 소재 늘리는 애플, 폐어망 사용하는 삼성전자=삼성전자와 애플은 UN이 지정한 4월22일 ‘지구의 날’을 앞두고 모두 재활용 정책을 재고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선보인 갤럭시 S22 시리즈의 ‘키 브래킷’과 S22 울트라 모델의 S펜 커버 내부 등에 해양 폐기물을 재활용한 소재를 탑재했다. 인도양 인근에서 건져낸 폐어망을 분리해 가공한 뒤 사용했다. 이후 모바일 전 제품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갤럭시탭 S8 시리즈’ ‘갤럭시북2 프로’ 등에도 적용했다. 지구의 날 맞이 국내 사업장과 관계사를 대상으로 폐휴대폰 수거 캠페인을 진행하기도 했다.
애플은 ‘2022년도 환경 경과 보고서’를 발표하고 환경 관련 활동에 대한 진행 상황을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애플 제품에 사용된 모든 소재 중 20%는 재활용 소재였다. 특히 지난해 9월 출시된 ‘아이폰13’ ‘아이폰13프로’ 메인 로직 보드 도금과 전후면 카메라 와이어에 처음으로 재활용 금을 사용했다.
제품 재사용 제도도 적극 이용하고 있다. 지난해 애플은 총 1220만대 기기 및 액세서리를 수거해 소비자에게 보냈다.
세계 스마트폰 시장 1·2위인 두 업체가 친환경에 앞장서고 있는 만큼 중국 제조사도 차츰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샤오미, 리얼미 오포 모토로라 등은 스마트폰 생산부터 폐기까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에코 레이팅’ 제도를 도입했다.
◆리퍼비시 시장, 전년비 15% 성장…“친환경 정책, 선택 아닌 필수”=최근 전 산업군에서 친환경 소비를 지향하는 ‘에코슈머’ ‘그린슈머’가 늘고 있다. 스마트폰 소비자 역시 변화가 도드라졌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법원, 신동호 EBS 신임사장 임명 제동…집행정지 신청 인용
2025-04-07 17:31:11유상임 장관, 잔여 임기 과제는… "GPU 보릿고개, 추경 절실" (종합)
2025-04-07 14:07:45[일문일답] 유상임 장관 “남은 임기 2개월 남짓…ICT 발전 위해 최선”
2025-04-07 13:35:25과기정통부, 6G 리더십 확보한다…저궤도 위성통신 R&D 착수
2025-04-07 11:00:00KT “AI로 392건 보이스피싱탐지, 160억원 피해예방 효과”
2025-04-07 10:12:28[인터뷰] “메시지 마케팅 시장, 지속 성장 중”...iM택시가 KT 택한 이유는?
2025-04-07 09:00:00[단독] 남성판 '호텔 델루나'…신작 '그랜드 갤럭시' 넷플릭스行
2025-04-07 17:39:51[DD퇴근길] IDC 꺼지자 시스템 셧다운…"메일나라, 복구 중"
2025-04-07 17:10:02네이버-브릴리언트 코리아, AI기술-데이터 협력 시작한다
2025-04-07 16:41:06카카오게임즈, 장애인 게임 접근성 높인다…3년 연속 보조기기 지원
2025-04-07 14:49:33지그재그, 온·오프라인 '뷰티 페스타' 개최…최대 97% 할인
2025-04-07 1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