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금융IT

[국감2020] 토스 등 5대 간편결제 마케팅비 4년 새 8배 폭증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카카오페이, 토스, 페이코 등 간편결제사업자들의 마케팅비 지출이 지난 한 해에만 10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최근 4년간(2016~2019년) 간편결제사업자 마케팅비 현황’자료에 따르면, 주요 5개사(카카오페이·비바리퍼블리카·쿠팡·NHN페이코·네이버파이낸셜)의 지난해 마케팅 비용은 2016년 대비 8배 증가한 약 1005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6년 123억 4400만원 수준이었던 이들 기업의 마케팅비는 2017년 171억 4900만원, 2018년 305억 9400만원으로 매년 순증해 지난해 최고치(1004억 7600만원)를 기록했다. 2018년 이후 1년 만에 3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

작년 한 해 가장 많은 마케팅비를 지출한 기업은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로 2016년 대비 약 26배 증가한 약 800억원을 사용했다.

다음으로 ▲카카오페이 237억 9300만원 NHN페이코 176억 4300만원 쿠팡 81억 6000만원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 서비스사) 13억 7900만원으로 순으로 마케팅비 지출이 높았다.

마케팅비가 증가하면서 소비자 이용금액 역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간편결제사업자 주요 5개사의 지난해 이용금액은 52조 3103억원으로 2017년 11조 1796억원 대비 5배 증가했다.

특히 토스의 이용금액은 43조 3706억원으로 간편결제사업자 가운데 마케팅비와 이용금액 모두 가장 높았다.

현재 카드사의 경우 고비용 마케팅이 소비자나 중소 가맹점의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어 마케팅비에 대한 제한을 두고 있는 반면, 간편 결제 및 송금 서비스 등 소비자 생활에 밀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간편결제사업자에 대한 규제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난 9월 금융감독원이 행정지도 성격의‘전자금융업 이용자 자금보호 가이드라인’을 내놓았지만 여기에도 마케팅 비용을 제한하는 내용은 담겨있지 않았다.

김한정 의원은 “간편결제 서비스 활성화로 금융시장에 긍정적인 영향도 있지만,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위축의 우려 속에 건전성과 수익성 악화 등의 잠재적 위험은 공존하고 있다”며, “간편결제사업자의 마케팅 경쟁이 장기화된다면 수수료 인상 등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관심과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