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정부공공IT

[데이터댐④] 블록체인, 댐 구축 ‘필수 기술’로 자리 잡나


정부가 ‘디지털뉴딜’의 대표 사업으로 흩어져있던 데이터를 모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댐’ 구축에 나선 가운데, 양질의 데이터를 모을 수 있는 방법으로 블록체인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또 데이터 댐의 한 축인 ‘마이데이터’ 산업 활성화에도 블록체인 기술이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

“데이터 댐 ‘수질관리’에 블록체인 기술 필요”


지난달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21년 1월까지 6개월 간 885억 8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공공데이터를 개방한다. 확충한 데이터를 가공하고 데이터가 필요한 기업을 매칭하는 데에는 2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또 AI(인공지능) 산업 활성화를 위해 AI 학습용 데이터 150종도 구축한다. 자연어, 미디어, 헬스케어, 안전, 자율주행 등 10개 영역에서 데이터를 구축하며 올해 말까지 2925억원의 예산을 붓는다.

이처럼 대용량 데이터가 확보되고 개방될수록 양질의 데이터를 모아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정부가 공공데이터 관리에 청년 인턴 8000명을 배치하는 이유도 데이터의 품질을 개선할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확보된 데이터가 위변조되지는 않았는지, 데이터가 가공됐다면 어떤 단계를 거쳐 가공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블록체인 전문기업 블로코는 지난 4일 ‘데이터와 블록체인, 우리는 과연 제대로 쓰고 있을까?’라는 보고서를 내고 정부의 데이터댐 사업에 블록체인 기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정보가 흘러온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저장된 정보는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이 데이터의 무결성 및 정합성을 확인하는 데 적합하다는 게 근거다.

블로코는 블록체인의 타임스탬프 기능이 데이터 관리에 효과적일 것으로 봤다. 타임스탬프란 특정한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뜻한다. 블록체인에서 타임스탬프는 데이터가 특정한 시점에 존재하고 있었음을 증명하고, 이후에도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기능을 맡는다. 최초의 블록체인인 비트코인은 거래 데이터를 암호화해 타임스탬프를 찍고, 데이터가 시간 순으로 배열된 긴 사슬을 만듦으로써 개발됐다.

블로코는 데이터 댐보다 데이터 타임스탬프가 먼저 구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블로코는 “데이터 타임스탬핑이야 말로 블록체인이 가진 가장 강력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며 “이를 통해 댐에 들어가고 나오는 모든 데이터에 신뢰성을 부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데이터댐에서 나오는 데이터가 어떻게 수집‧가공됐는지, 혹시 위변조되지는 않았는지 확신할수 없다면 제대로 된 댐 역할은 기대하기 힘들다”며 블록체인 기술이 필요한 이유를 강조했다.

데이터 댐 큰 축, ‘마이데이터’ 활성화엔 블록체인 필수

데이터댐의 큰 축 중 하나인 마이데이터 활성화에도 블록체인 기술이 적극 쓰일 전망이다. 정부는 지난달 디지털뉴딜 사업을 발표하며 데이터 댐의 주요 내용 중 하나로 마이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마이데이터란 흩어져있는 개인정보를 개인이 직접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지난 5월 데이터3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흩어진 정보를 모아 활용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목표 또한 데이터 댐과 유사하다. 또 중앙기관이 아닌 개인이 직접 데이터 주권을 지닌다는 점에서 블록체인의 ‘탈중앙화’와도 맥이 통한다.

마이데이터 산업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중 하나가 블록체인이다. 블록체인의 분산원장을 기반으로 개인이 직접 데이터를 보유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 중앙기관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지 않고도 신원을 인증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신원인증(DID)도 마이데이터 산업의 필수 요소다.

지난해 시작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의 마이데이터 사업엔 이미 블록체인 기술이 쓰이고 있다. 과기부는 지난해 의료·금융·유통·에너지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를 대상으로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 8개 과제를 선정했다. 이 중 서울대학교 병원이 주관하는 ‘마이 헬스 데이터(My Health Data)’ 플랫폼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발된다.

<박현영 기자>hyun@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