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김도현기자] LG화학이 영업비밀 보호를 위해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선다.
30일 LG화학(대표 신학철)은 29일(현지시각)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와 미국 델라웨어주 지방법원에 SK이노베이션을 영업비밀 침해로 제소했다고 밝혔다.
LG화학은 ITC에 2차전지 관련 영업비밀을 침해한 SK이노베이션의 셀, 팩, 샘플 등의 미국 내 수입 전면 금지를 요청했다. 아울러 SK이노베이션의 전지사업 미국 법인 소재지인 델라웨어 지방법원에 영업비밀침해금지 및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LG화학에 따르면 자사의 조사 결과, SK이노베이션이 전지사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선언한 지난 2017년을 기점으로 2차전지 관련 핵심기술이 다량 유출된 구체적인 자료들을 발견해 소송을 제기하게 됐다.
LG화학이 제기한 2차전지 영업비밀 침해에 따른 수입금지요청에 대해 ITC가 다음달 중 조사개시 결정을 내리면 내년 상반기에 예비판결, 하반기에 최종판결이 날 것으로 전망된다.
LG화학 측은 “SK이노베이션은 지난 2017년부터 불과 2년 만에 LG화학 전지사업본부의 연구개발, 생산, 품질관리, 구매, 영업 등 전 분야에서 76명의 핵심인력을 대거 빼갔다”며 “이 중에는 LG화학이 특정 자동차 업체와 진행하고 있는 차세대 전기차 프로젝트에 참여한 핵심인력들도 다수 포함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LG화학은 현재에도 SK이노베이션이 핵심기술 유출 우려가 있는 자사의 핵심인력을 대상으로 추가 채용을 진행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특히 SK이노베이션의 입사지원 서류에는 2차전지 양산 기술 및 핵심 공정기술 등과 관련된 LG화학의 주요 영업비밀이 매우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담겨 있는 것을 확인했다.
LG화학 측은 “입사지원 서류에는 LG화학에서 수행한 상세한 업무 내역은 물론 프로젝트 리더, 프로젝트를 함께한 동료 전원의 실명도 작성하게 했다”면서 “이직 전 회사 시스템에서 개인당 400~1900건의 핵심기술 관련 문서를 다운로드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앞서 LG화학은 지난 2017년 10월과 지난 4월 두 차례 SK이노베이션에 내용증명 공문을 통해 ‘영업비밀, 기술정보 등의 유출 가능성이 높은 인력에 대한 채용절차를 중단해 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신 대표는 “이번 소송은 경쟁사의 부당 행위에 엄정하게 대처해 오랜 연구와 막대한 투자로 확보한 핵심기술과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며 “정당한 경쟁을 통한 건전한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도현 기자>dobest@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KT, 미디어사업 전략 수정…"공격적으로 AI 접목"
2025-04-16 16:53:56저속노화에 ‘홀베리’ 브랜드 열풍…SK스토아, 레몬·자몽 신상품 출시
2025-04-16 16:08:29KT 미디어사업, AX로 ‘헤쳐모여’...“눈앞 수익보단 효율화·매출원 확장 최우선”(종합)
2025-04-16 15:30:49[일문일답]KT “미디어사업, 매출 5조원 목표보단 전략수정 시급”...AI로 승부수
2025-04-16 13:09:05KT ‘미디어뉴웨이’ 전략 시동…콘텐츠 제작·유통·플랫폼 AX 집중
2025-04-16 10:00:00[단독] 'O'PENing 2025' 라인업 확정…하반기 tvN서 만난다
2025-04-16 16:08:16한국게임이용자협회, 주요 정당에 게임 이용자 정책 제안서 전달
2025-04-16 15:25:54“경쟁보단 협동이 좋아” 마비노기 모바일, MMORPG 새 방향성 제시했다
2025-04-16 14:46:58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출시 한 달, MAU는 낮지만…‘지금배송’에 거는 기대감
2025-04-16 14:25:57지그재그, 직진배송 전면 확대…"자정까지 주문하면 주말에도 익일 배송"
2025-04-16 14:12:23여기어때, 펜션 운영 올인원 솔루션 '부킹허브' 출시
2025-04-16 14: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