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이동통신 3사의 데이터 요금제 개편이 마무리됐다. 전체적으로 기존 요금제에 비해 가격을 소폭 올리는 대신 데이터 등 혜택을 대폭 확대했다. 속도 제한을 걸기는 하지만 4~5만원대에서도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게 됐고 3만원대의 최저가 요금제의 데이터 혜택 역시 확대됐다.
LG유플러스(부회장 하현회)는 서울 용산 사옥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걱정없는 데이터 요금제’ 5종과 월정액 3만원대 저가 데이터 요금제 1종 등 총 6종의 요금제를 출시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월 월 8만8000원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선보이며 데이터 요금개편 불씨를 당겼다. 하지만 LG유플러스는 고가 요금제 혜택만 강화했을 뿐 중저가 요금제는 그대로 두었다. 이후 KT와 SK텔레콤이 고가 요금제를 포함한 중저가 데이터 요금제를 전면 개편하면서 이통사간 데이터 요금제 경쟁이 본격화됐다. ◆가격대비 데이터 제공량 및 공유 확대=이통3사 모두 데이터 제공량 확대에 초점을 맞췄다. 초고가 요금제 허들을 낮췄으며 요금제별로 속도 제한이 있지만 4~6만원대에서도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동영상 이용량이 적은 이용자의 경우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예를 들어 KT의 데이터선택38.3요금제를 대제하는 LTE 베이직의 경우 같은 데이터 제공량에 가격은 5390원 저렴하고 데이터선택32.8 가입자는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월 110원 비싼 대신 700MB 데이터가 늘어났다. SK텔레콤 역시 3만2890원인 밴드데이터세이브 요금제는 데이터 제공량이 300MB에 불과하지만 가격이 비슷한 스몰 요금제는 1.2GB로 4배 증가했다.
고가 요금제 허들도 낮아졌다. LG유플러스는 올해 2월 데이터88 요금제를 출시하며 무제한 요금제 경쟁의 불씨를 당겼으며 이번에는 동일한 데이터 제공에 1만원 가격을 낮춘 78요금제를 출시하며 무제한 요금제 진입장벽을 더욱 낮췄다.
물론, 요금이 소폭 인상되는 경우도 있지만 제한적 무제한 데이터 제공 혜택을 제공한 만큼, 전체적으로는 이용자의 선택권이 확대됐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ARPU 낮아질까? 해지방어에는 효과 클 듯=이번 요금제 개편이 이통사 실적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단기적으로는 가입자당평균매출(ARPU) 하락 등 악영향이 예상된다. 신규 요금제의 경우 기존 요금제보다 혜택이 확대되지만 가격은 낮아지기 때문이다. 특히, 데이터공유 혜택이 많아지면서 기존 중고가 요금제 가입자들이 저가 요금제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통사들은 전체적으로 이용자들의 데이터 이용량이 확대돼 중저가 이용자가 고가 요금제로 갈아타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통사 모두 이같은 과정을 기대하고 있다.
황현식 LG유플러스 PS부문장은 "신규 요금제는 기존에 비해 요금이 더 싸지고 혜택이 많아진다"며 "고객들의 데이터 이용량이 많아져 데이터 활동이 우리 회사내에서 이뤄져 ARPU가 유지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ARPU 예측이 유동적이라면 해지율 축소에는 도움이 될 전망이다. 전체적으로 가족간, 같은 이통사 가입자간 혜택을 늘렸기 때문에 다른 통신사로 갈아탈 유인이 없어졌다. 단말기유통법 시행 후 단말기 보조금 혜택이 축소된 것도 한 몫하고 있다. SK텔레콤의 경우 T플랜 가입자간에만 데이터 공유 혜택이 있다. 가족이 모두 T플랜에 가입해야 한다는 얘기다. 다른 이통사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혜택이 비슷한데 굳이 통신사를 옮길 필요가 없다. ◆요금인하 작업 일단락?…여전히 살아있는 보편요금제=이통사들의 데이터 요금제 개편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는 정부의 요금인하 정책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저가 요금제 개편의 경우 보편요금제 도입 추진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통3사 모두 가격, 데이터 제공량에서 보편요금제 기준을 맞추려 한 흔적이 보였다.
기본 데이터 제공량은 LG유플러스가 가장 많지만 100MB~300MB로 큰 의미는 없다. 가격은 선택약정할인을 할 때 2만원대 중반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고 있는 보편요금제 수준에 부합한다.
이통사 모두 최저가 요금제에서 데이터 혜택을 확대했지만 보편요금제 도입이 없던일이 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국회 논의를 거쳐야 하는데, 찬반이 뚜렷한 법안이다보니 어느 한쪽의 손을 들어주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결국 한동안 국회에 계류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통사 입장에서는 지속적인 부담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