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HPE가 지난 4월 인수한 하이브리드 및 올플래시 스토리지 기업 ‘님블스토리지’의 ‘인포사이트’를 3PAR에 우선 적용한다. ‘인포사이트’는 님블스토리지에서 제공하던 인공지능(AI) 기반 장애예측서비스다. HPE는 향후 이를 전제품에 적용할 방침이다.
12일 한국HPE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인수한지 불과 7개월 만에 피인수 기업의 솔루션을 적용을 결정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본사에선 관련 내용을 지난달 발표했다.
인포사이트는 기존 님블스토리지부터 수집한 데이터 및 머신러닝을 활용해 성능이나 용량 예측, 상태 검사 등의 가시성을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예측 분석 기능을 통해 장애 징후를 미리 감지하고 고객에게 알려주는 기능도 제공한다.
실제 님블스토리지 환경에선 이를 통해 장애가 발생하기 전에 86%를 자동으로 해결했다는 조사도 있다. 특히 문제 발생 전에 고객이 IT 운영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추천 기능 등을 제공한다.
이 상무는 “인포사이트를 통해 스토리지 운영의 많은 부분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며 “IT투자 여력이 없는 중소규모기업에게 유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인포사이트를 비롯해 퍼블릭 클라우드로 데이터 이동이 자동화해주는 ‘클라우드 볼륨’과 같은 기능을 통해 님블스토리지는 재구매율이 높은 편”이라며 “국내에서도 20군데 이상 사이트에 40대 이상이 팔렸다”고 덧붙였다. 전세계적으로도 1만여곳 이상 고객사에 공급됐다.
한편 이날 HPE는 최근 개최된 ‘디스커버’ 행사에서 ▲슈퍼돔 플렉스, ▲원스피어, ▲그린레이크 등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HPE 슈퍼돔 플렉스는 모듈형 인-메모리 컴퓨팅 플랫폼으로, 기업의 규모에 관계 없이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한다. 4소켓씩 확장 가능하며, 99.999%의 가용성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출시된 HPE 원스피어는 멀티 클라우드 관리 솔루션이다. 자체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포털을 통해 고객들이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서비스까지 접근할 수 있다. 다중 사용자 업무공간 ‘프로젝트(Projects)’를 통해 빠른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활용이 가능하다. 사용량 기반 과금 형식의 IT 솔루션 서비스인 HPE 그린레이크도 발표됐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GU+, ‘환승구독2’ 출시…“8개 방송사 콘텐츠, 하나의 요금제로”
2025-05-12 09:29:24“해외서도 응급의료 상담 가능”…LGU+, 소방청과 '안전·연결' 캠페인 진행
2025-05-11 12:00:00[OTT레이더] 강하늘X고민시의 쓰리스타 로맨스, 넷플릭스 '당신의 맛'
2025-05-11 11:54:28SKT 유심 교체 고객 143만명…6월 말까지 1077만장 유심 확보
2025-05-11 11:54:16SKT, '유심 교체' 대신 '유심 재설정' 도입…"티머니·금융인증서 교체 필요 X"
2025-05-11 10:00:08[현장]“어르신, 온라인 예약 하셨어요?”...SKT 유심교체 방문해보니
2025-05-10 07:07:00"오늘부터 최대 80% 할인"…무신사, '뷰티 페스타' 돌입
2025-05-12 09:12:32[툰설툰설] '파격'과 '격정'의 콜라보…개꿈 vs 사랑하는 나의 억압자
2025-05-11 15:07:38[네카오는 지금] 1분기 엇갈린 성적표…AI 전략으로 반전 노린다
2025-05-11 15:07:16[인터뷰] 의사 가운 벗고 AI 입다…실리콘밸리 홀린 ‘피클’
2025-05-11 11:55:43[IT클로즈업] 오프라인은 힘든데…네카오 커머스 1분기 호실적 비결은
2025-05-11 11:37:17국내 플랫폼 다 죽는다…"공정거래법 개정안, 경쟁력 약화할 것"
2025-05-09 19:0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