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바일, Z세대에선 독자적 시청 매체로 자리 잡아
- 어릴수록 유튜브 영향력↑…적절한 과세·불법영상 모니터링 필요성 제기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13~24세에 해당되는 Z세대는 텔레비전(TV)보다 구글 유튜브를 통한 모바일 영상 시청에 익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닐슨코리안클릭이 발간한 ‘Z세대의 스마트폰 이용행태 분석’ 결과에 따르면 Z세대는 다른 세대와 비교해 유튜브의 이용 비율이 10% 이상 높으며 TV 시청의 ‘프라임타임’인 저녁 8시에도 모바일 영상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Z세대를 제외한 전 세대가 TV 시청의 프라임타임인 저녁 8시부터 모바일 동영상 이용량이 감소하는 것과 달리, 프라임타임에도 모바일 동영상 이용량이 증가했다. Z세대의 모바일 동영상 이용 시간은 전체 모바일 동영상 이용 시간 중 41.1%를 차지했다. 또 Z세대 스마트폰 이용자 중 동영상 이용자 비중은 96%로 전 세대 중 가장 높았다.
닐슨코리안클릭은 “Z세대는 모바일을 TV로도 대체되지 않는 독자적인 영상 시청 매체로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동영상 콘텐츠의 주 소비층인 Z세대가 가장 많은 시간 이용하는 서비스는 유튜브로 나타났다. Z세대는 유튜브를 하루 평균 4.4회 실행시키고 51.5분 이용했다. 유튜브는 카카오톡, 페이스북, 네이버를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또, Z세대의 유튜브 앱 사용 비율은 86%로 타 세대와 비교해 10% 정도 높았다.
유튜브가 모바일 동영상 시장을 장악하면서 동영상 광고 시장에서의 매출 비중도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디지털 마케팅 전문회사 메조미디어의 ‘2017 업종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유튜브의 지난해 동영상 광고비는 약 1168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네이버(465억원)의 2.5배에 달하며, 지상파 3사의 인터넷 동영상 광고 매출을 모두 합한 206억원보다 5배나 많은 수치다.
메조미디어는 보고서를 통해 동영상 프리롤 광고를 대상으로 추정한 것으로 업계에서는 유튜브의 매출을 최대 3000억원으로 추정했다. 이와 관련해선 유튜브가 매출 규모에 걸맞은 세금을 제대로 내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선정적인 영상 접근도 쉬워 모니터링 강화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법원, 신동호 EBS 신임사장 임명 제동…집행정지 신청 인용
2025-04-07 17:31:11유상임 장관, 잔여 임기 과제는… "GPU 보릿고개, 추경 절실" (종합)
2025-04-07 14:07:45[일문일답] 유상임 장관 “남은 임기 2개월 남짓…ICT 발전 위해 최선”
2025-04-07 13:35:25과기정통부, 6G 리더십 확보한다…저궤도 위성통신 R&D 착수
2025-04-07 11:00:00KT “AI로 392건 보이스피싱탐지, 160억원 피해예방 효과”
2025-04-07 10:12:28[인터뷰] “메시지 마케팅 시장, 지속 성장 중”...iM택시가 KT 택한 이유는?
2025-04-07 09:00:00[단독] 남성판 '호텔 델루나'…신작 '그랜드 갤럭시' 넷플릭스行
2025-04-07 17:39:51[DD퇴근길] IDC 꺼지자 시스템 셧다운…"메일나라, 복구 중"
2025-04-07 17:10:02네이버-브릴리언트 코리아, AI기술-데이터 협력 시작한다
2025-04-07 16:41:06카카오게임즈, 장애인 게임 접근성 높인다…3년 연속 보조기기 지원
2025-04-07 14:49:33지그재그, 온·오프라인 '뷰티 페스타' 개최…최대 97% 할인
2025-04-07 1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