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롯데홈쇼핑이 미래창조과학부의 영업정지 처분에 대해 효력정지 가처분신청 및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롯데홈쇼핑의 설명이 아니더라도 영업정지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곳은 중소 협력업체들이다. 롯데홈쇼핑은 그래도 대기업이다. 힘들겠지만 어찌됐든 버틸 수는 있을 터. 하지만 중소업체들은 상황이 다르다. 여기에 2차, 3차 협력업체까지 포함하면 롯데홈쇼핑의 위법행위로 피해를 입게 될 업체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죄는 대기업이 짓고 피해는 고스란히 중소업체 차지다.
하지만 중소협력사가 롯데홈쇼핑 비리의 면죄부가 될 수는 없다. 비단 롯데만의 문제는 아니겠지만 홈쇼핑의 갑질행위, 불공정거래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과도한 자릿세에 협력업체에 비용을 떠넘기는 것은 일상이었다. 유례없는 프라임타임 영업정지 처분에 이제 와서 동반성장 코스프레를 벌이는 것 같아 씁쓸하다.
홈쇼핑은 정부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영위할 수 있는 사업이다.
방송프로그램의 기획, 편성부터 방송의 공익성, 경영계획, 기술적 능력, 시청자 권익보호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기준치를 넘어서야 사업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부의 승인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사업자로서 자격을 박탈당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 재승인 과정에서 롯데홈쇼핑은 의무를 저버렸고, 정부는 관리 감독해야 할 권한을 포기했다.
롯데홈쇼핑의 행정소송이 어떠한 결과로 이어질지 모르겠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홈쇼핑 업계는 사업승인에 담겨 있는 의미를 다시 한 번 곱씹고 업계가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정부도 반짝 호들갑을 떨 것이 아니다. 특히, 미래부는 홈쇼핑을 포함해 방송정책을 제대로 수행할 자신이 없다면 이 참에 관련 업무를 방통위에 넘겨야 한다는 위기감을 갖고 업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차라리 위원회 조직이었다면 검찰이나 감사원을 통해 문제점이 발견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동산 분양 이익반영” KT, 1분기 영업익 전년比 36%↑
2025-05-09 09:46:41LGU+, 실속형 스마트폰 '갤럭시 버디4' 단독 출시
2025-05-09 09:44:32최민희 “SKT, 해킹 한달전 이미 비정상 트래픽 감지”
2025-05-08 20:43:35SKT 위약금 면제 공방 고조…질문·답변 ‘복붙’ 2차 청문회(종합)
2025-05-08 18:38:42[컨콜] 무난한 성적 받은 홍범식號 LGU+…키워드는 ‘익시오·파주 AIDC’ (종합)
2025-05-08 17:27:10[DD퇴근길] 다시 뛰는 카카오?…AI·카톡 슈퍼앱, '쌍끌이 전략' 통할까
2025-05-08 16:53:33[컨콜종합] 네이버, 1분기 실적 '쑥'…AI 타고 광고·콘텐츠 삼각 성장
2025-05-09 11:35:18[컨콜] 출시 2개월 된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합격점…“이용자 확대 기여”
2025-05-09 10:30:29[컨콜] 네이버, AI 브리핑·개인화 추천으로 '버터컬' 서비스 강화
2025-05-09 10:05:46[컨콜] 네이버 최수연 “컬리와의 제휴 통해 커머스 플랫폼 전반 경쟁력 높일 것”
2025-05-09 09:46:15"광고 보고 무료로"…쿠팡플레이, 멤버십 비결제 회원까지 시청층 확대
2025-05-09 09:45:13"D-6"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출시 코앞…온·오프라인서 관심 집중
2025-05-09 09: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