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세계 모바일게임 시장을 강타한 ‘포켓몬 고(Pokémon GO)’가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포켓몬 고는 증강현실(AR) 기술이 적용된 게임으로 미국과 호주, 뉴질랜드 구글·애플 앱 마켓 인기 1위와 최고매출 1위를 석권했다. 정식 출시 국가에선 모두 정상에 오른 셈이다.
포켓몬 고에 적용된 증강현실(AR)은 가상의 물체를 실세계와 겹쳐보이게 하는 기술이다. 수년전에 AR을 활용한 다양한 모바일게임들이 출시됐다. 니앤틱도 포켓몬 고 이전에 ‘인그레스’라는 게임을 선보인 바 있다.
포켓몬 고 이전엔 크게 흥행했다고 볼만한 AR 모바일게임을 꼽기가 쉽지 않았다. 이 때문에 AR에 대한 게임업계의 관심도 사그라졌다. 국내 업계에선 AR을 철지난 기술로 치부하는 분위기였다.
이와 관련해 얼마 전 만난 이재홍 한국게임학회장(숭실대 교수)은 업계가 곱씹을 만한 얘기를 꺼냈다.
그는 “게임업계가 왜 AR을 활용하지 않는가”라며 성장 가능성이 큰 AR을 놔두고 상용화로 가기까지 여러 걸림돌이 있는 가상현실(VR) 게임 개발에만 매달려있냐는 비판이었다. 포켓몬 고 흥행으로 되짚어 보건데 일리 있는 지적이다.
AR 모바일게임의 경우 대다수 이용자가 가진 스마트폰을 통해 바로 상용화가 가능하다. 포켓몬 고 사례로 입증된 것처럼 콘텐츠만 잘 만든다면 대박을 낼 수 있는 시장 조건이 이미 갖춰져 있던 셈이다.
포켓몬 고의 성공 이유로 IP의 유명세를 꼽는 의견이 많다. 하지만 니앤틱의 한 우물 파기도 주된 성공 이유로 내세울 수 있다. 니앤틱은 5년 전 AR게임으로 세상에 새로운 재미를 제시했고 이후 연구개발에 매진해왔다. 이것이 포켓몬 고 성공의 밑거름이 됐다. 유명 IP를 활용했다고 마냥 성공한 사례로 볼 수 없는 것이다.
기존처럼 게임 속 세상에서 포켓몬을 수집했다면 광풍이나 신드롬이라 불릴만한 시장 반향이 일어났을까. 아니라고 본다. 이번 포켓몬 고 사례를 통해 게임업계 내에서 AR이 재조명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갤럭시S25' 통했나?…삼성전자, 1Q 어닝서프라이즈
2025-04-08 17:24:16CJ온스타일, 프리미엄 뷰티 확장 본격화…‘아르마니 뷰티’ 선봬
2025-04-08 14:26:44SKT, 기업은행에 AI 피싱탐지 기술 적용…“사전테스트서 6억원 손실 예방”
2025-04-08 09:46:18법원, 신동호 EBS 신임사장 임명 제동…집행정지 신청 인용
2025-04-07 17:31:11유상임 장관, 잔여 임기 과제는… "GPU 보릿고개, 추경 절실" (종합)
2025-04-07 14:07:45마이리얼트립, 지난해 매출 892억원…첫 연간 흑자 달성
2025-04-08 17:25:56쌓여가는 K-팝 앨범, 예쁜 쓰레기인가요?…새로운 대안 속속 등장
2025-04-08 16:43:20위메이드, 위퍼블릭 통해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억2000만원 기부
2025-04-08 14:26:28저작권 단체, 문체부 시정 명령 무시...음저협 회장은 보수 79% 인상
2025-04-08 11:0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