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시리즈

[창간11주년/IT산업 미래전략③] ‘창조경제’, 박근혜 정부의 미래정책 중간평가는?

- 창조경제센터, 스타트업·지역경제 육성 본격화…정권 교체 이후 존속 불확실 ‘약점’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박근혜 정부의 정보기술(IT)분야 미래 준비는 미래창조과학부와 창조경제혁신센터 두 축이 담당하고 있다. 정부 출범 4년째. 창조경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 창조경제혁신센터 측면에서 본다면 IT를 매개로 한 스타트업 육성이 창조경제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 2014년 9월 대구를 시작으로 2015년 7월 인천까지 17개 시·도 전체에 설립 완료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새 먹거리 창출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산실이다. 대기업이 각각 육성을 담당한다. 정부는 배후지원 역할이다.

지난 11일 정부는 ‘제13회 중앙·지방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선 향후 창조경제혁신센터 체감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미래부 최양희 장관은 “지역에 기반한 창조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에서도 적극적인 관심과 의지를 갖고 혁신센터의 기능과 역량 확대 및 자생력 확보를 위해 노력해달라”고 지역 밀착형 경제 육성 의지를 표명했다. 홍윤삭 행정자치부 장관은 “국제 경기 침체의 장기화, 新넛크래커 현상 등 우리 경제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창조경제가 유일한 대안이며, 그 핵심은 창조경제혁신센터일 것”이라고 정부의 경기 활성화 정책 중심에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있다고 강조했다.

센터는 총 18개 ▲삼성(대구·경북) ▲현대자동차(광주) ▲SK(대전·세종) ▲LG(충북) ▲롯데(부산) ▲포스코(포항) ▲GS(전남) ▲현대중공업(울산) ▲KT(경기) ▲한진(인천) ▲한화(충남) ▲CJ(서울) ▲두산(경남) ▲효성(전북) ▲네이버(강원) ▲카카오(제주) 16개 그룹이 역량을 동원한다.

지난 4월 기준 센터가 수행한 멘토링과 컨설팅은 총 1만4370건이다. 시제품 제작은 5790건을 도왔다. 851개 기업을 육성하고 있고 1444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각 지역에 위치한 중소기업의 기술지원은 744건 판로개척은 250건의 성과를 올렸다. 이들에게도 304억원의 투자가 오도록 거들었다. 센터를 매개로 조성한 투자펀드는 6912억원. 1253억원을 집행했다.

삼성전자가 경북에서 추진한 스마트공장은 전국으로 확산 단계다. 삼성전자는 내년까지 스마트공장을 적용한 중견·중소기업을 100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작년 10월부터 ▲현장혁신 ▲공장운영시스템 ▲제조기술분야 전문가 150여명을 스마트공장 보급에 투입했다. 4월 기준 경북 140여개 기업이 스마트공장으로 탈바꿈했다. 생산성은 예전보다 142% 올랐고 불량률은 79% 감소했다.

SK텔레콤과 KT는 창조경제혁신센터 기업의 해외진출에 신경을 쏟고 있다. 양사는 매년 2월 열리는 정보통신기술(ICT)분야 최대 행사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전시에 육성 기업 참여를 돕고 있다. SK텔레콤은 대전 세종 지역을 사물인터넷(IoT) 사업 메카로 키우려 하고 있다. 토양 조성부터 사업화까지 산학연 협력체제를 구축했다. KT는 중국 사물인터넷(IoT) 시장 동향 컨퍼런스를 여는 등 차이나모바일 NTT도코모 같은 제휴 통신사로 다리를 놔주는 일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의 중심에 기업이 있다 보니 해당 기업의 상황에 따라 센터 상황도 천차만별이다. 센터를 맡은 대부분의 기업은 현재 ‘제 코가 석자’다. 이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 박근혜 정부의 미래 준비가 갖고 있는 약점과도 관계가 있다. 현 체제의 가장 큰 숙제는 지속성이다. 다음 정부에서 이 정책을 이어갈 것이라는 확신이 없다. 미래부도 창조경제혁신센터도 존속이 불투명하다. 기업 역시 계속 후원을 이어간다는 보장이 없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