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모바일 뱅크 등 은행권의 비대면채널 중심의 서비스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지원체계 마련이 속도를 내고 있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신한은행이 스마트금융 채널 고도화 전담반을 구성하고 이미 구축된 스마트 채널 대고객 앱 서비스 유지보수와 신규개발을 일원화하기로 했다. 또, 핀테크 서비스 구축을 스마트금융 채널 고도화 전담반에서 지원하게 된다.
신한은행은 스마트 금융 서비스로 스마트폰 뱅킹 서비스인 ‘신한 S뱅크’, 모바일 뱅크 서비스인 서니뱅크(SunnyBank), 웨어러블 뱅킹인 서니(Sunny) 워치 뱅킹 등을 보유하고 있다.
외주 형태로 진행되는 스마트금융 채널 고도화 전담반은 이러한 스마트 채널 대고객 앱의 상품·서비스 추가/고도화를 담당하게 된다. 수신, 여신, 외환 신상품 및 간편 송금/지불결제, 자산관리, 개인화 마케팅 Offer 등) 부가 서비스 등을 구축한다.
또, 스마트금융 채널을 통한 대고객 앱 및 웹사이트 신규 구축도 추진한다. 최근 은행권에선 모바일과 PC로 나뉘어 운영되는 홈페이지가 통합되는 추세다. PC와 모바일에서 일원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IBK기업은행은 별도로 운영하던 모바일 홈페이지 서비스를 중단하고 PC와 모바일 모두 같은 홈페이지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했다.
여기에 신한은행은 대고객 마케팅 지원을 위한 업무 시스템도 구축한다. 푸쉬 메시지 서비스를 비롯해 비고객 마케팅 지원, 고객 빅데이터 축적 및 분석 시스템도 맡게 된다.
신한금융그룹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핀테크 육성 기관인 ‘신한퓨쳐스랩’의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기반 인프라 및 테스트 베드 지원도 수행한다.
신한금융그룹은 신한퓨쳐스랩 2기 기업 모집에 현재 나선 상태이며 그룹 차원에서 핀테크 업체에 직접 투자를 진행하는 등 가장 활발한 핀태크 생태계 육성에 나서고 있기도 하다.
신한은행의 경우 스마트금융 채널 고도화 전담반을 통해 주요 상품/서비스의 타사(여행사, 카드사 등) 활용을 위한 오픈 API(Open API)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이미 농협은행과 IBK기업은행이 서비스를 오픈하거나 준비하고 있는 것처럼 신한은행도 오픈API를 통한 금융서비스와 핀테크 기술을 접목시키는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비대면실명인증 체계 운영 및 변동사항 추가 구축도 나선다. 신한은행은 최초의 정맥인식 기반의 생체인증 키오스크 서비스에 나섰으며 마찬가지로 은행권 최초의 파이도(FIDO) 기반 인증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는 등 최신 ICT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개발에 적극적이다.
최근 금융권의 화두가 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서도 스마트금융 채널 고도화 전담반이 연구개발 지원 및 파일럿 시스템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신한은행은 신한퓨쳐스랩 1기 기업인 ‘스트리미’, ‘블로코’ 등과 더불어 블록체인 기술의 해외송금 및 사내 전자문서 보안 적용을 현재 추진중에 있기도 하다.
한편 업계에서는 은행권의 비대면채널 등 신규채널 전담을 위한 지원체계 마련이 보다 속도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스마트폰 뱅킹 등 앱 개발이 봇물처럼 이어질 때 이를 지원하기 위한 개발 체계 단일화를 꾀한 것처럼 모바일 뱅크 등 신규 채널의 규모와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이를 지원하기 위한 효율적인 지원 체계 마련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과방위원 만난 LGU+ 홍범식 “AI 국가대항전, 국회-민간 실질 협력 필요”
2025-04-15 11:00:00SKT·SK텔링크, 글로벌 최초 '기내 와이파이 자동 로밍 서비스' 출시
2025-04-15 10:36:49GS샵 “1분기 여행상품 상담 주문 20% 증가”…가정의 달 수요 선점 나선다
2025-04-15 10:21:50KT-업스테이지, 태국에 LLM 플랫폼 수출…AX 글로벌 확장 본격화
2025-04-15 10:16:05트럼프의 선물?... 애플, 관세 폭탄 피해 시총 3조달러 회복
2025-04-15 10:07:29'데미 무어'의 파격 변신…영화 '서브스턴스', 디즈니+서 본다
2025-04-15 14:47:39유니티 “AI 허브로 진화…개발 전 과정 돕는 플랫폼 될 것”
2025-04-15 14:30:19네이버는 법인세 3900억원 내는데 구글은 겨우 240억원
2025-04-15 14:21:47[현장] '대환장 기안장' 파워?…BTS 진 "태어나서 가장 많은 연락 받아"
2025-04-15 12:02:38황재호 민트로켓 대표 “韓 게임 창의성 없다고? ‘데이브’는 달라”
2025-04-15 12:02:11유니티 맷 브롬버그 CEO “유니티6.1, AI 에이전트 지원”
2025-04-15 12:0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