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올해 대다수 국내 게임사의 경영 키워드는 ‘글로벌 진출’이다. 그 중에서도 중국 진출은 1순위 목표로 꼽힌다. 중국의 내수 시장 자체가 이미 글로벌이라는 얘기가 나오듯이 국내 게임사들은 ‘중국과 중국 아닌 곳’을 나눠 국외 진출을 모색하고 있을 정도다.
이처럼 지리적으로 가깝고 ‘기회의 땅’으로 평가받는 중국이지만 현지 진출은 녹록지 않다.
업계 애기를 들어보면 중국 현지 퍼블리셔의 입김이 대단히 강하지만 그 중에서도 텐센트는 그야말로 슈퍼갑이다. 현지 마켓 장악력을 앞세워 개발사에 9대1의 수익분배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국내 게임사 입장에선 텐센트와 퍼블리싱 계약 자체도 쉽지 않지만 현지 진출에 앞서 요구사항을 수용하는 것은 더욱 고역이다. 퍼블리싱 계약이 이뤄졌다가 이후 파기된 경우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이유다.
중국 텐센트를 통해 현지 진출한 한 게임사 관계자는 “현지화 요구사항이 대단히 많았다”며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데만 하나의 게임을 새로 만들 정도의 시간이 들어갔다”고 당시를 회고했다.
지난 수년간 국내 온라인게임 시장은 성장세가 눈에 띄게 둔화된 상태이고 그동안 급성장해온 모바일게임 시장은 저성장 혹은 역성장 기조로 돌아설 조짐을 보이고 있다. ‘2014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15년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은 2조5000억원 수준을 기록하다 2016년에 이르러 역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올해 많은 게임사들이 지속 성장을 하느냐의 중대한 기로에 서 있는 셈이다. 이제 정부와 국회에서는 정책 기조를 바꿔야 한다. 규제보다 진흥이 필요한 시점이다. 계약 현장에서 이미 중국과 우리나라 간 산업 역전이 일어났다는 업체 대표의 말을 흘려들어선 안 될 것이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촉발된 'AI 저작권'…"법·정책 논의 필요해"
2025-05-20 17:15:02"JTBC 중계권 입찰 문제없다"…법원, 지상파 3사 가처분 기각
2025-05-20 16:47:18우주청, 위성정보활용협의체 실무자 교육…"공공서비스 적용 확대"
2025-05-20 16:08:37[NSIS 2025] SKT 해킹 충격…과기정통부, "새로운 정보보호체계 마련"
2025-05-20 15:37:44[NSIS 2025] SKB "양자기술 이용한 공격? 양자로 막는다"
2025-05-20 15:17:26크래프톤, 110억원 기부로 카이스트에 교육·연구 공간 건립
2025-05-20 18:15:20"폭싹 속았수다도 참여했는데"…韓 VFX 상장사, '적자 늪' 여전
2025-05-20 17:40:14카카오엔터 장윤중 공동대표, 빌보드 '2025 글로벌 파워 플레이어스' 선정
2025-05-20 17:15:13게임위, '발라트로' 등급 재결정…'청불'서 '15세 이용가'로
2025-05-20 16:41:29[NSIS 2025] 세일포인트 "보안의 중심은 이제 '아이덴티티'…권한 기반 보안 강조
2025-05-20 15:49:13‘크리에이터 전성시대’…1인 콘텐츠 넘어 이제는 플랫폼이 키운다
2025-05-20 15:3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