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는 올해 글로벌 진출 지역 가운데 ‘중국’을 첫손에 꼽고 있다. 중국 시장이 지난 몇 년간 기록했던 높은 성장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중국 게임시장의 발전은 단말기 보급에 따른 모바일게임 인구의 폭발적 증가와 정부 정책 지원, 자본의 집중 등이 주된 이유로 파악된다. 지난 2013년 조사결과 중국 게임인구가 5억명에 근접, 단일 게임시장으로 이미 세계 최대 규모를 형성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은 최근 발간한 KOCCA포커스 보고서를 통해 급성장 중인 중국 게임산업 대응 전략을 제언했다.
‘중국 콘텐츠산업의 성장과 대응 전략’ 게임부문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중국 게임시장은 국내와 마찬가지로 모바일게임 위주로 재편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보고서도 대작 위주의 시장이 형성된 PC온라인보다 비교적 성공 기회가 많은 모바일 시장 진입을 추천, 소개했다.
콘텐츠의 문화적 현지화도 시장 진입을 위한 필수 요소다. 현지화를 위한 파트너사와의 협력이 중요한 까닭이다. 중국 게임 이용자들은 보통 자국산 게임에 호응을 보이는데 주로 무협과 역사물을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내용을 다루는 게임들의 순위도 높은 편으로 보고서는 이 같은 현지화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밖에 보고서는 위챗 이외의 플랫폼을 활용하는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는 분석도 내놨다.
현재 중국 애플 앱스토어 시장 순위를 보면 텐센트가 위챗 플랫폼을 통해 출시된 게임들이 상위권을 장악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업체들이 텐센트와의 협력을 바라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텐센트의 경우 향후 서비스 주도권을 가지는 퍼블리싱 협력을 추진 중인데다 자체 제작스튜디오들을 운영 중으로 내부 경쟁을 감안하면 텐센트와 협력하더라도 국내 업체가 비집고 들어갈 자리가 많지 않다는 게 보고서의 지적이다. 이에 보고서는 현지 시장 진입을 위해 위챗 플랫폼 이외의 파편화된 구글 안드로이드 로컬마켓에 대한 대응 역시 더욱 중요하다고 봤다.
보고서는 “중소 개발사들에게는 중국의 다양한 마켓들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적 지원, 커뮤니케이션 지원이 절실하다. 이를 통해 중국 파트너와의 상호 신뢰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기업은행에 AI 피싱탐지 기술 적용…“사전테스트서 6억원 손실 예방”
2025-04-08 09:46:18법원, 신동호 EBS 신임사장 임명 제동…집행정지 신청 인용
2025-04-07 17:31:11유상임 장관, 잔여 임기 과제는… "GPU 보릿고개, 추경 절실" (종합)
2025-04-07 14:07:45[일문일답] 유상임 장관 “남은 임기 2개월 남짓…ICT 발전 위해 최선”
2025-04-07 13:35:25과기정통부, 6G 리더십 확보한다…저궤도 위성통신 R&D 착수
2025-04-07 11:00:00저작권 단체, 문체부 시정 명령 무시...음저협 회장은 보수 79% 인상
2025-04-08 11:00:22위믹스 상폐 우려... 한국 블록체인 게임 시장 뒷걸음질할라
2025-04-08 10:59:21‘국민게임의 귀환’ 블로믹스, ‘포트리스HG’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2025-04-08 10:05:21김병기 의원, 게임이용자 보호를 위한 게임산업법 대표발의
2025-04-08 09:42:18[단독] 남성판 '호텔 델루나'…신작 '그랜드 갤럭시' 넷플릭스行
2025-04-07 17:3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