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수환기자] 소니가 오는 10일(현지시각)까지 독일 베를린 메세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치대 가전 전시회 ‘IFA2014’에서 신형 웨어러블 기기 ‘토크’와 ‘스마트와치3’를 각각 선보였다.
먼저 토크는 e잉크 기반의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것이 특징이다. e잉크는 아마존 전자책 ‘킨들’ 시리즈에 장착되면서 널리 쓰이기 시작했으며 낮은 전력소비량과 야외 시인성이 우수해 오랫동안 텍스트를 봐도 눈이 덜 아프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의 활용도는 떨어진다. 이 제품에 쓰인 이유는 디스플레이 자체의 특성보다는 전력소비량을 줄이기 위해서다.
여느 웨어러블 기기가 그렇듯 스마트 기기와의 연결은 블루투스로 이뤄진다. 문자 메시지를 살펴보거나 음성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 본체 위쪽과 아래쪽을 손가락으로 ‘툭’ 건드리면서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마트 기기와 연결했을 때 쓸 만한 기능은 주로 피트니스에 몰려 있다. 기존 소니 웨어러블 기기에서처럼 사용자의 라이스타일을 기록해 어떤 생활을 하고 있는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삶 그 자체를 기록하는 역할이라고 보면 된다.
이와 달리 스마트워치3는 액정표시장치(LCD)를 장착한 웨어러블 기기다. 구글 안드로이드웨어를 운영체제(OS)로 썼고 퀄컴 스냅드래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장착했다. 전반적인 사양으로 보면 LG전자 ‘G와치R’와 비슷한 구석이 꽤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형태나 손목에 착용하는 방식 등에는 차이가 있다.
본체 아래쪽은 금속 재질로 이뤄졌다. 그래서인지 10여분 정도 사용하다보면 손목 위쪽이 따뜻해지는 느낌을 받는다. 사용자 편의성이나 기능 면에서는 크게 기대할 구석이 없지만 준수한 성능은 기대해도 좋다.
이는 일종의 ‘투트랙’ 전략이다. 소니 스마트폰과의 연동으로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당연하지만 최신 트렌드에 발맞춰 신제품을 꾸준히 내놓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구글 생태계를 통해 스마트폰, 태블릿 이후의 새로운 스마트 기기에도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리라는 속내도 포함되어 있다. 스마트폰 사업의 부진, 그렇다고 포기할 수 없는 상황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셈이다.
<베를린(독일)=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재명 1호 공약 실현한다…민주당 정보통신위원회, LGU+ 평촌메가센터 방문
2025-05-13 13:47:25SKT 1분기 설비투자, 3사 중 가장 적어…“정보보호 투자 소홀과 무관”
2025-05-13 11:55:30통신3사 ‘갤럭시S25 엣지’ 사전예약 실시…“SKT는 기기변경만”
2025-05-13 10:41:03LGU+·토스 협업, AI ‘익시’ 브랜드 행사에 180만명 참가
2025-05-13 09:41:49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현장] 넷플릭스 '탄금' 관전 포인트?...정체 숨긴 이복남매 간 미묘한 감정선
2025-05-13 14:05:46[현장] 10년간 115팀 투자…네이버 D2SF가 만든 테크 스타트업 생태계
2025-05-13 12:00:00비스테이지+, 위챗 미니프로그램 론칭…中 팬덤 시장 노크
2025-05-13 11:26:20kt 밀리의서재-지니뮤직, 하이라이트 낭독 '사랑의 생애' 오디오북 공개
2025-05-13 10:25:28“게임 활약 아쉽네” NHN, 2분기부터 핵심 사업 ‘선택과 집중’ 펼친다(종합)
2025-05-13 10:1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