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이상일 칼럼

[취재수첩] 전자상거래 결제 간편화, PG업계 체질 개선 기회로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최근 정부가 발표한 ‘전자상거래 결제 간편화 방안’의 일환으로 전자결제지급대행업체(PG)사가 카드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신용카드 가맹점 표준 약관이 개정되는 등 규제 여건이 개선됐다.

이에 따라 원칙적으로는 페이팔(PayPal), 알리페이(AliPay)와 같은 간편 지급결제 시장에 국내 PG사들이 본격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다만 금융당국은 국내 PG사들이 중요 개인정보를 보관하게 되는 만큼 그에 걸 맞는 보안수준과 검사 확대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영세 PG사들이 이번 규제 완화로 인해 오히려 벼랑 끝으로 내몰리게 됐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PG사업자로 등록된 업체는 50여개에 달한다.

그 중 KG이니시스, LG유플러스, 한국사이버결제가 시장 점유율 80% 이상을 차지하고 나머지 업체들이 시장을 나눠먹고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요구하는 보안수준과 보상체계 등을 갖출 수 있는 능력이 되는 곳은 PG사업을 같이 하고 있는 VAN(부가가치사업망)사와 이번에 카카오와 같이 시장에 진출한 LG CNS를 포함해 5개사 정도이다.

일각에선 페이팔, 알리페이와 같이 글로벌 결제망을 가지고 있는 대형 업체들이 국내 시장을 독점할 수 있을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내 대형 PG사들이 연이어 간편결제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지만 페이팔이나 알리페이와 같은 경우 해외 직접구매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국내 소비자들에게 글로벌 결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대형 PG사들을 제외한 나머지 PG사들은 해외 글로벌 PG업계의 국내시장 진출 지연과 보안수준 향상에 대해 금융당국에 유예기간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문제는 단순히 시간이 주어진다고 해서 영세 PG사들의 경영여건이 좋아진다는 보장이 없다는 점이다. 이들 영세 PG업체들은 국내에서 20%정도의 시장을 두고 40개가 넘는 업체들과 경쟁을 하고 있어 수익성 면에 한계가 있다. 특히 이들 영세업체들이 대형 PG업체들의 틈바구니에서 생존전략으로 구사하는 것이 ‘수수료 할인’인데 이는 자연히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번 기회에 영세 PG업체들이 인수합병 등 자정작용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쇼핑몰 사업자 대부분이 PG업체의 결제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는데 영세 PG사들이 도산할 경우 고스란히 수익을 잃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있어 왔기 때문이다.

물론 일각에선 영세 PG업체들이 자체적으로 인수합병을 진행할 여력이 없는 만큼 기존 대형 PG에 대한 피인수, 혹은 신규 진입 업체에 의한 합병 말고는 대안이 없다고 얘기한다. 어쨌든 금융당국의 규정 강화와 국내외 간편결제 시장의 역동성을 고려하면 이들 영세 PG업체들 앞에는 힘겨운 나날이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페이팔이나 알리페이와 같은 글로벌 결제업체의 국내 시장 공략에 대해 일정부분 업계는 물론 정부 차원의 대응책 마련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 물리적으로 그들의 시장 진출을 막을 수는 없지만 빠른 규제 완화와 국내 카드사들의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이 시급한 시점이다.

고스란히 외국계 기업에 국내 간편 결제 시장을 내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정부의 이번 결정은 다소 늦은 감이 있다는 점에서 아쉽다. 한편 대형 PG사들도 긴장의 끈을 늦춰선 안될 것이다.

카카오의 ‘뱅크월렛 카카오’를 통한 간편결제 시장 진출 소식에 주요 PG사들의 주가가 급락했다고 한다. 국내 간편 지급결제시장이 한 치 앞을 볼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을 업계 모두가 인식해야 할 것이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