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인터넷

인터넷 빅브라더 ‘프리즘’ 존재 인정한 미 정부…IT업체 신뢰도에 직격탄

[디지털데일리 심재석기자] 미국 정부가 프리즘(PRISM)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민간인의 개인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했다는 의혹이 점차 사실로 굳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의혹에 연루된 유명 IT업체들까지 신뢰성에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앞서 미국의 워싱턴포스트와 영국의 가디언 언론들은  정부가 애플, 구글, 페이스북 주요 IT 업체의 데이터를 직접 엑세스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폭로한 있다이뿐 아니라  버라이즌 등 주요 통산사 이용자들의 전화 통화기록을 수집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7(현지시각프리즘에 대해의회의 승인을 받은 프로그램이라며불법 사찰이 아니다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프리즘 프로젝트와 통화기록 프로그램은 의회에서도 이미 알고 있는 사안일 아니라 승인까지 받았다" 설명했다. 그는 "2006 이후 정부가 어떤 일을 하고 있는 지에 대해 의원들에게 계속 설명해줬다" 덧붙였다

 

아울러 오바마 대통령은미국 시민이나 미국 거주자들의 정보는 수집대상이 아니었다면서해외정보감시법(FISA) 인증하는 범위 내에서 진행됐다 해명했다.

 

그러나 연루된 IT 기업들은 미국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하는 회사들이다. 페이스북의 경우 사용자의 80% 북미 이외의 지역에 거주한다.‘프리즘’…

 

오바마 대통령은 전화 통화기록 수집과 관련해서는 특정인의 전화를 엿들은 것이 아니라 전화 번호와 통화 시간을 체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의 입장을 정리하면그런 프로그램을 진행한 것은 사실이지만, 불법은 아니다 것이다.

미국 정부가 프리즘 통화기록 수집 사실을 인정하자 IT 업계는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개인정보가 자신도 모르게 미국 정부로 흘러들어간다는 사실에 불쾌하지 않을 이용자들은 많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 주간지 타임 보도에 따르면, 프리즘 프로그램은 지난 2007 9 마이크로소프트부터 시작됐으며, 이후 구글(2009 1), 페이스북(2009 6), 팔톡(2009 12), 유튜브(2010 9), 스카이프(2011 2), AOL(2011 3), 애플(2012 10) 등이 프로그램을 통해 정보를 제공했다.

 

정부는 이들 IT기업을 통해 이메일, 실시간 메시지, 동영상, 사진, 파일전송, 음성채팅, 로그인 시간, SNS 프로필 10 가지에 달하는 정보를 수집했다

 

유명 IT 업체들이 모두 연루된 것은 IT 업계의 신뢰성에 타격을 입힐 전망이다. 이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정부가 프리즘을 인정하면서)실리콘밸리 IT 기업들이 신뢰성의 위기를 맞고 있다 보도했다. 특히 신문은위키리크스 설립자인 줄리언 어산지가 페이스북을 '끔찍한 스파이 머신'이라고 가리킨 있다 지적했다.

 

한편 IT 기업들은 정부가 자사 고객들의 데이터에 직접 접속한다는 워싱턴포스트 보도에 대해 일제히 부정했다. 구글 래리 페이지 CEO는 블로그에서 "우리는 미국이나 다른 나라의 정부에 우리의 서버에 직접 액세스를 제공하는 어떤 프로그램에도 참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직접' 제공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용자들의 관심은 직접적이냐 간접적이냐가 아니라 자신들의 정보가 정부당국에 넘어갔느냐의 여부라고 미국 언론들은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연방 사법당국이 해외정보감시법(FISA)에 따라 IT기업에 정보공개 명령을 내릴 수 있고, 정부가 특별법원의 명령서만 받으면 영장 없이도 특정인에 대한 감시가 가능하다고 전했다.

 

<심재석 기자>sjs@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