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일반적으로 현재 국내 데이터센터(IDC)가 한달에 사용하는 전력은 평균 11기가와트(GWh) 가량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한 가구가 월 220kWh를 소비한다고 했을때, 5만 가구에 해당하는 수치다. 즉 이중 1%의 전력만 절감한다고 해도 500가구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다양한 IT 기술을 통해 IDC의 전력을 절감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정부가 오는 10월부터 추진하는 그린IDC인증제도 이러한 구현 방안 중 하나다.
26일 지식경제부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한 ‘스마트 에너지 IT 컨퍼런스’에서 그린IDC 인증위원회 위원장인 이윤준 카이스트 교수<사진>는 “IDC의 에너지 절감을 위해 직류배전과 UPS, 냉각 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여러가지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며 “지속적인 IDC의 에너지 절약 활동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나연묵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차세대 컴퓨팅 PD도 “현재 국내에 약 70개 데이터센터가 있는데 이들이 한해에 사용하는 전력량이 약 2000GWh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이는 한개의 원자력발전소이 생산하는 전력의 1/4 가량에 해당하는 수치인데, 이중 50%만 절감해도 원전의 1/8을 절감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이를 위해 정부 차원에서도 그린IDC테스트베드와 그린스토리지, 그린서버 등 다양한 에너지 절감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린IDC 테스트베드의 경우 DC 300V 배전시스템과 밀폐형 쿨링시스템,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 다양한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롯데정보통신의 윤덕상 이사도 자사의 그린IDC 구현 사례를 발표, 컨테인먼트설비(냉기차례), 외기시스템 및 프리쿨링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한 연간 약 20% 에너지 절감, 약 2억원의 비용을 절감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데이터센터(IDC) 이외에도 네트워크, IT 단말 부문 등 그간의 성과 및 향후 계획, 에너지 절감 구현 사례가 발표됐다.
네트워크 분야에서도 국내 중소중견 장비기업들이 개발한 FTTB/FTTH(Fiber To The Building/Home) 장비 구축을 확대, 기존 대비 50% 이상 전력을 절감했으며 통신사업자들은 전화국사 광역화(4km->40km)를 통해 가입자망 전체 에너지 효율을 50% 향상시키고 있다.
IT 단말 분야에서는 PC 1대의 소비전력을 기존보다 약 23% 절감하는 그린 PC 기술개발과 보급을 2010년부터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학교 전산실, 콜센터, 피시방 등에 확산하고 있다고 지경부 측은 밝혔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통신3사 ‘갤럭시S25 엣지’ 사전예약 실시…“SKT는 기기변경만”
2025-05-13 10:41:03LGU+·토스 협업, AI ‘익시’ 브랜드 행사에 180만명 참가
2025-05-13 09:41:49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DD퇴근길] "세상에서 가장 얇은 폰"…삼성, '갤럭시 언팩'서 보여준다
2025-05-12 17:17:23kt 밀리의서재-지니뮤직, 하이라이트 낭독 '사랑의 생애' 오디오북 공개
2025-05-13 10:25:28“게임 활약 아쉽네” NHN, 2분기부터 핵심 사업 ‘선택과 집중’ 펼친다(종합)
2025-05-13 10:11:57컴투스홀딩스, 1분기 영업손실 32억원…"하반기 신작 5종 출시"
2025-05-13 09:57:54컴투스, 1분기 영업익 44.3% 늘어…"야구게임 덕분"
2025-05-13 09:43:52[컨콜] NHN 정우진 “1분기 커머스·콘텐츠·광고 재정비…선택과 집중”
2025-05-13 09:3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