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AI

DX 넘어 AX 시대, 대기업도 고민…크라우드웍스가 제시하는 해법

크라우드웍스, '알피'로 기업 맞춤형 AI 솔루션 제안

김우승 크라우드웍스 대표가 2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기업 고객 대상 컨퍼런스에서 발언하고 있다.
김우승 크라우드웍스 대표가 2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기업 고객 대상 컨퍼런스에서 발언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무어의 법칙(2년마다 반도체 집적도가 2배씩 증가한다는 이론)이 무색할 만큼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르다. AI 기술에 비교적 적극적인 대기업조차도 필요에 따라 일부 기술만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전사적인 AI 전환(AX)에는 여전히 많은 고민이 따르고 있다."

김우승 크라우드웍스 대표는 2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기업 고객 대상 컨퍼런스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AX가 산업 내 화두가 된 가운데, 국내 AI 데이터 기업 크라우드웍스가 기업들이 AI 기술을 도입할 때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리얼-월드 엔터프라이즈 AI' 주제로 개최된 이번 행사는 올해로 4회를 맞았다.

김우승 대표는 "몇 년 전 빅데이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환(DX)이 떠올랐는데 이제 AX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면서 "기업들이 AI를 어떻게 도입해야 하는지, 또 어떻게 하면 기술 역량을 높일 수 있을지 말하는 게 중요한 때"라고 말했다.

양수열 크라우드웍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자사 에이전틱 AI 솔루션 '알피(Alpy)'를 소개하며 "오픈AI의 챗GPT가 주목받는 이유는 사람들이 기존 검색으로 충족되지 않던 수요를 만족시켰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알피는 데이터 전처리부터 에이전틱 검색증강생성(RAG) 기술, 모델 성능 평가까지 에이전틱 AI 도입 전 과정을 지원하는 통합 솔루션이다. 현재 일부 메뉴에 일본어 서비스를 지원 중이며 올해 상반기 중 전체 다국어 지원 업데이트가 완료된다.

핵심 기능은 ▲알피 널리지 컴파일러 ▲알피 RAG ▲알피 거대언어모델(LLM) 엔진 ▲알피 에이전트 스튜디오 ▲알피 이밸류에이션 ▲알피 어드민 총 6가지로 구성된다. 양수열 CTO는 이중 '알피 놀리지 컴파일러'에 대해 "문서 복잡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자체 모델을 갖췄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알피 날리지 컴파일러 화면 [ⓒ 크라우드웍스]
알피 날리지 컴파일러 화면 [ⓒ 크라우드웍스]

상당수 회사가 RAG 기반 AI 에이전트 프로젝트에 나설 때 최소 8000개~1만개 규모 문서를 학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비정형 데이터 전처리가 필수인데, 문서 특징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 자동화를 적용하면 복잡한 문서에서 인식률이 떨어진다. 당연히 데이터 전처리 품질도 하락한다.

크라우드웍스는 AI 데이터 전처리 솔루션인 알피 날리지 컴파일러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광학문자판독(OCR), 파싱(Parsing), 청킹(Chunking)을 통해 다양한 문서를 AI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 데이터로 변환한다. 워드(Word), PPTX, PDF, 엑셀(Excel) 외에도 한국 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HWP, HWPX 문서 변환도 지원한다.

양 CTO는 "테이블, 차트, 이미지 등 시각 요소에 대해서도 대형언어모델(LLM)을 활용해 AI가 이해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를 생성해 비정형 데이터의 효과적인 전처리를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회사는 알피 널리지 컴파일러에 적용된 핵심 기술인 '문서 복잡도 분석 기반 문서 자동화 처리 기술'에 관한 특허를 이달 출원하기도 했다.

최근 산업 현장에서는 기술 검증(PoC)을 넘어 실제 LLM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황수호 크라우드웍스 최고사업책임자(CBO)는 "2023년 대비 2024년 조직 내 다수 기능에 AI 도입이 급증했다"며 "이 기간 사이버 보안에 대한 우려도 심화됐다"고 전했다.

국내에서도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AI 프라이버시 전담팀'을 신설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AI 신뢰성을 인증하는 등 안전성 문제가 부각되는 모습이다. 금융감독원에서도 금융사가 AI 모델을 도입할 때 진단 및 감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알린다.

황수호 CBO는 "기업이 AI 모델을 만들었다면 당장 안전성 평가가 현안이 된다"면서 "크라우드웍스는 알피 이밸류에이션 등을 통해 AI 모델 개발뿐만 아니라 평가까지 함께 지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업이 실제 고객에 AI 기술을 시험 적용해 보기 전에 폭넓은 전문가 풀을 통해 사전 검증이 충분히 이뤄진다는 것도 회사가 내세우는 장점이다. 황 CBO는 "의료나 헬스케어 분야 AI 모델을 고민한다면 의료진 1300여명을 바로 소싱해 모델 평가에 투입할 수 있다"며 "은행 영업 역시 산업 전문가 600여명을 보유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