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사이버 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CISA, Cybersecurity and Infrastructure Security Agency)은 미국 국토안보부(DHS) 산하 기관으로, 사이버 보안 및 국가 중요 인프라 보호를 담당하고 있다. CISA는 OT(운영 기술) 및 ICS(산업 제어 시스템) 보안 관련 연구 및 대응을 주도하고 있으며 OT에 대한 주요 취약점을 공개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는 CISA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분석을 통해 식별된 주요 OT 취약점 동향을 점검한다.<편집자>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OT(운영 기술)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가운데, 미국 현지 시각 4월 4일과 14일 발표된 보안 취약점들은 산업 제어 시스템 및 인프라에 중대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히타치 에너지(Hitachi Energy), ABB, 지멘스(Siemens), Subnet Solutions 등에서 발견된 주요 보안 취약점과 이에 대한 권장 조치를 정리했다.
1. Hitachi Energy RTU500 Series (ICSA-25-093-01)
취약점 요약: 보안 업데이트 메커니즘을 우회하여 서명되지 않은 펌웨어를 업로드할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됨.
위험 요소: 공격자가 RTU(Remote Terminal Unit)를 악의적으로 수정해 OT 네트워크 장비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음.
권장 조치: 제조사 보안 패치 적용, 펌웨어 업데이트 절차 강화, OT 네트워크 보안 점검 수행 권장.
2. ABB ACS880 Drives Containing CODESYS RTS (ICSA-25-093-03)
취약점 요약: CODESYS Runtime System(RTS)에서 발생한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드라이브 제어 권한 탈취 가능성 존재.
위험 요소: 공격자가 드라이브 제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
권장 조치: 최신 보안 업데이트 적용, 네트워크 접근 제한, OT 환경 내 이상 동작 모니터링 필요.
3. ABB Low Voltage DC Drives and Power Controllers CODESYS RTS (ICSA-25-093-04)
취약점 요약: 저전압 DC 드라이브 및 전력 컨트롤러의 CODESYS RTS에 보안 취약점 존재.
위험 요소: 원격에서 드라이브를 조작해 산업 장비 오작동 가능성 있음.
권장 조치: 보안 패치 적용, 시스템 접근 권한 제한, 이상 징후 모니터링 강화 필요.
4. Siemens Industrial Edge Devices (ICSA-25-100-04)
취약점 요약: 원격 코드 실행 또는 권한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됨.
위험 요소: 공격자가 PLC 및 제어 시스템과 연동된 OT 환경에 무단 접근하거나 운영 데이터에 영향을 줄 가능성 존재.
권장 조치: Siemens 보안 권고에 따라 최신 펌웨어 적용, 네트워크 분리 및 접근 제어 강화, 이상 행위 모니터링 권장.
5. Siemens SENTRON 7KT PAC1260 Data Manager (ICSA-25-100-06)
취약점 요약: 시스템 정보를 노출하거나 기능을 방해할 수 있는 취약점이 확인됨.
위험 요소: 전력 데이터의 정확성이 저하되거나 OT 전력 인프라의 제어 기능 저해 가능성 있음.
권장 조치: 보안 패치 적용, 장치 접근 제한, 네트워크 보안 강화 필요.
6. Subnet Solutions PowerSYSTEM Center (ICSA-25-100-08)
취약점 요약: 변전소 자동화 및 SCADA 통신 시스템에서 중요 구성요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취약점 발견.
위험 요소: 공격자가 RTU/SCADA 명령 및 제어 기능을 악용하거나 전력 제어 시스템을 교란할 수 있음.
권장 조치: Subnet 보안 업데이트 적용, 접근 권한 제한, 네트워크 보안 점검 필요.
7. ABB Arctic Wireless Gateways (ICSA-25-100-09)
취약점 요약: PLC 및 RTU와 연결된 무선 게이트웨이에서 원격 접근이 가능한 취약점 존재.
위험 요소: 외부 침입을 통한 OT 네트워크 공격 경로가 될 수 있음.
권장 조치: ABB 보안 권고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인증 및 암호화 설정 강화, 네트워크 모니터링 통한 이상 탐지 필요.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참여연대 "불법 영업한 전광훈 알뜰폰, 사업자등록 취소해야"
2025-04-15 18:10:01과방위원 만난 LGU+ 홍범식 “AI 국가대항전, 국회-민간 실질 협력 필요”
2025-04-15 11:00:00SKT·SK텔링크, 글로벌 최초 '기내 와이파이 자동 로밍 서비스' 출시
2025-04-15 10:36:49GS샵 “1분기 여행상품 상담 주문 20% 증가”…가정의 달 수요 선점 나선다
2025-04-15 10:21:50[일문일답] CJ ENM "엠넷 30주년, 더 넓은 세계로 간다”…글로벌 전략은?
2025-04-15 19:20:07CJ ENM-애플TV+ 손잡는다…글로벌 음악 경연 프로그램 제작
2025-04-15 18:46:26CJ ENM·엠넷, 올해 30주년…‘글로벌 삼각 전략’ 본격 가동
2025-04-15 18:08:58"男 신병3·女 나는 솔로"…ENA, '젊은 채널' 이미지 굳힌다
2025-04-15 17:27:39[DD퇴근길] "세금 덜 내려 매출 축소?"…구글코리아, 법인세 회피 논란
2025-04-15 17:02:13기안84·진·지예은 "눈물나게 힘들어서 절친됐다" [일문일답]
2025-04-15 16:3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