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지난해 전세계 전기차용 양극재 적재량이 전년 대비 31%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는 14% 성장에 그치며 중국 업체 성장세가 두드러진 모습을 보였다.
11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전기차 양극재 총 적재량은 약 192만9000톤으로 전년 대비 31% 성장했다. 다만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는 14% 성장에 그친 678만톤이었다.
양극재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과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다. 전기차용 주력 양극재는 고용량 소재인 NCx(NCM, NCA)와 저용량·고안정성 소재 리튬인산철(LFP)이 경합하는 구도를 띠고 있다.
LFP는 전기차 화재 이슈 등 안전성 문제 부각과 불안정한 원자재값 및 원가 절감 추세에 따라 사용량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LFP의 작년 전기차용 사용량은 중국을 포함한 전체 시장에서 1037만톤으로 전년(679만톤) 대비 52.7% 늘어났고, 전체 시장에서의 비중 역시 53.7% 수준에 달했다.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도 103만톤이 적재되며 전년 대비 45% 가까이 늘어났다. 연평균 성장률(CAGR) 역시 글로벌에서 101%, 중국 제외 시장에서 142%에 달했다.
NCx 양극재 역시 종전 대비 성장을 지속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시장 전체 성장률을 하회하며 둔화된 양상을 띠었다. 전체 시장 내 NCx(미드니켈, 하이니켈 포함) 양극재 적재량 성장률은 11.9%에,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는 9.9% 성장하는 데 그쳤다.
한편 NCx만 한정한 글로벌 양극재 시장에서는 국내 기업인 LG화학이 106만톤을 출하하며 1위에 올랐다. 2, 3위는 중국 업체인 론바이와 리샤인이 각각 차지했다. 또 다른 국내 기업인 엘앤에프와 에코프로도 각각 4위, 7위에 올랐으나 전반적으로 중국계 기업들이 두드러지는 성장세를 보였다.
LFP 시장에서는 중국 강세가 두드러진다. 후난 위넝과 다이나노닉이 각각 전세계 LFP 양극재 적재량에서 1위와 2위를 차지했고, 허베이 완룬과 로팔(Lopal) 등이 뒤를 이었다.
SNE리서치는 이같은 LFP 시장의 폭발적인 확대가 중국 기업의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 글로벌 배터리 소재 시장의 판도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고 봤다.
SNE리서치는 "전기차용 양극재 시장은 하이니켈 NCM과 LFP간 경쟁이 더욱 심화될 전망"이라며 "향후 전기차 시장을 중심으로 하이니켈 NCM과 LFP 기술 및 비용 경쟁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민희 의원, 부총리급 '과기정통인공지능부' 격상 개정안 발의
2025-04-16 18:17:07스타링크 韓 진출 임박…정부, 전파 혼간섭 방지 '총력'
2025-04-16 17:54:18[DD퇴근길] KT, 미디어사업 전략 수정…"공격적으로 AI 접목"
2025-04-16 16:53:56저속노화에 ‘홀베리’ 브랜드 열풍…SK스토아, 레몬·자몽 신상품 출시
2025-04-16 16:08:29KT 미디어사업, AX로 ‘헤쳐모여’...“눈앞 수익보단 효율화·매출원 확장 최우선”(종합)
2025-04-16 15:30:49[일문일답]KT “미디어사업, 매출 5조원 목표보단 전략수정 시급”...AI로 승부수
2025-04-16 13:09:05악연·기안장·폭싹…K-콘텐츠, '넷플릭스 톱10' 6편 석권
2025-04-16 18:17:52뉴진스, 데뷔 1000일 자축했지만…법원 판단은 그대로
2025-04-16 18:11:42[단독] 'O'PENing 2025' 라인업 확정…하반기 tvN서 만난다
2025-04-16 16:08:16한국게임이용자협회, 주요 정당에 게임 이용자 정책 제안서 전달
2025-04-16 15:25:54“경쟁보단 협동이 좋아” 마비노기 모바일, MMORPG 새 방향성 제시했다
2025-04-16 14:46:58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출시 한 달, MAU는 낮지만…‘지금배송’에 거는 기대감
2025-04-16 14:2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