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C "운용가능한 자금으로 영풍 주식 매입…사업적, 재무적 검토 거쳐 적법하게 취득"
-"몇 년전 채무보증까지 끄집어낸 뒤 최근 이슈처럼 짜깁기…다급함과 조급함 엿보여"
[디지털데일리 최천욱기자] 고려아연 해외자회사(손자회사) 썬메탈코퍼레이션(이하 'SMC')이 MBK·영풍 측을 겨냥해 "3년 전 채무보증까지 끄집어내 이를 최근 이슈와 무리하게 연관시키는 등 다급함과 조급함을 드러내며 연이어 무리수를 두고 있다"고 직격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 현실화 등 글로벌 경제지형이 급변하고 있고, 국내 기업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며 비상 대응에 분주한데도 기업의 생존이나 현안에 대한 인식조차 없이 네거티브 공세에만 집중하고 있는 모습을 보며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2일, SMC는 적대적 M&A 사태가 발생하기 3년 전인 2022년 당시 채무보증 사례를 마치 최근 이뤄진 것인 양 사실관계를 짜깁기하고 무리한 주장을 펼치고 있는 것에 대해 유감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
SMC는 영풍 주식을 취득하는 거래에 사용된 자금은 SMC의 자금으로 고려아연 혹은 여타 계열사 자금이 사용된 바 없다고 밝혔다.
SMC의 차입한도에 대한 고려아연의 보증은 2022년 승인된 것으로, 적대적 M&A 시도가 발생하기 훨씬 이전의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많은 기업들에서 통상적인 이뤄지는 해외 자회사에 대한 모회사의 채무보증조차 문제가 있는 것처럼 거론하는가 하면 채무보증을 지급보증으로 기술하는 등 다급함 속에서 연이어 무리수를 두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대법원 판례(1998년 10월 27일 선고, 98다27784 판결)에 따르면 지급보증은 여신거래의 한 형태로서 은행이 거래처(지급보증 신청인)의 위탁에 따라 그 거래처가 제3자에 대하여 부담하는 채무를 보증해주는 거래를 뜻한다.
공정거래위원회 전문용어사전에서도 지급보증은 ‘금융기관이 고객의 의뢰에 의하여 고객의 지급 채무를 보증해주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지급보증 주체가 금융기관이고 채무보증의 주체는 일반적으로 회사라고 돼 있다.
SMC는 나아가 MBK·영풍 측이 기본적인 투자 상식조차 아전인수식 해석을 이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M&A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수조원에 달하는 차입금을 빌려 공개매수 등에 나선 MBK·영풍 측이 SMC의 투자에 대해선 100% 자기자본으로만 투자를 해야 한다는 이해할 수 없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SMC측은 "자체 판단과 독립적 의사결정에 따라 영풍 주식을 매입했다는 점이 명확하다"고 강조했다.
SMC는 영풍과 같은 제련소를 운영하는 곳으로 영풍 지분 취득을 목적으로 한 SPC가 아니라 독자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이며, 자체적으로 발생한 현금흐름 등을 활용해 합리적인 투자활동을 진행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SMC의 이번 결정은 투자 측면에서도 합리적인 선택이었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SMC는 영풍 주식을 최 씨 일가로부터 종가 대비 약 30% 할인된 가격에 매입한 만큼, 회사 입장에서는 가격적인 메리트가 상당하다는 입장이다.
영풍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1~0.2배 수준인 저평가, 저PBR종목으로 최근 소액주주연대와 행동주의펀드 등의 지배구조개선 및 주주친화정책 요구에 따라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영풍의 평균 배당 등을 감안하면 연간 약 19억원의 배당수익 확보도 기대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에대해 SMC측은 "상대 측은 글로벌 불확실성과 보호무역주의, 경기침체에 대응하고 국가기간산업 고려아연이 위기를 슬기롭게 헤쳐 나가기 위해 애쓰는 일에는 관심이 없어 보인다. 나아가 대한민국 경제가 기로에 서 있는 현실 역시 전혀 눈에 들어오지 않는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회사와 대한민국 경제를 생각하는 고려아연 측의 대타협 제안에 대해 진지한 고민 없이 법적 분쟁과 비방전을 이어가는 모습은 고려아연과 계열사 그리고 협력사 근로자는 물론 울산시민과 많은 국민들을 적으로 돌리는 행위"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시대, 5G 네트워크 과시할 기회”…美통신사, 새로운 먹거리는 [IT클로즈업]
2025-02-02 20:26:36[OTT레이더] 美 'OJ. 심슨 사건', 그날의 진실은?
2025-02-02 10:52:05[네트워크 통·장] 트럼프 2기, 광통신 투자 집중?…韓 수혜주는
2025-02-01 11:03:00[DD퇴근길] 中 '딥시크' 쇼크, 글로벌 AI 산업 미친 파장은
2025-01-31 16:51:32[DD's톡] 딥시크 열풍에 통신주도 일부 수혜…같이 주목받는 ‘엣지AI’
2025-01-31 15:51:57"유출이 맞았네?"… 6월 27일 공개 '오징어게임3', 214번 정체는?
2025-01-31 10:44:46[DD's톡] 中 딥시크 쇼크…투자비 걸림돌 네이버·카카오에 호재될까
2025-02-02 17:14:54中관영매체 "딥시크에 무차별 사이버공격…모두 미국 IP"
2025-01-31 17:52:58[DD퇴근길] 中 '딥시크' 쇼크, 글로벌 AI 산업 미친 파장은
2025-01-31 16:51:32"엔비디아 칩 유출됐나"...美 딥시크 충격에 수출제재 '빈틈' 찾는다
2025-01-31 16:42:39“너도나도 AI 기술 융합하는데…IT 강국 韓, 옛말 될 수도”
2025-01-31 15:5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