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조윤정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 인수를 원한다면 허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개최한 인공지능(AI) 인프라 관련 기자회견에서 머스크 CEO의 틱톡 인수에 관한 질문에 "그가 (틱톡을) 사기를 원한다면 난 열려 있다"고 답했다.
틱톡의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의 '틱톡금지법'이 지정한 지난 19일까지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으면서 미국 내 서비스가 일시 중단됐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금지법 시행 기한을 연장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14시간만에 일부 서비스를 복구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누군가 틱톡을 인수해서 (지분) 절반을 미국에 주면 허가를 내주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미국 서비스가 중단되면 틱톡은 기업 가치가 사라지지만 계속 사업을 운영하면 기업 가치가 크다"며 "모든 것은 미국이 허가를 내주느냐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바이트댄스는 틱톡 미국 사업권을 매각할 의사가 없다고 공개적으로 밝혀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틱톡금지법을 75일간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내리면서 중국 정부와 틱톡이 제3자에게 매각하는 방안을 재고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나는 래리가 (틱톡을) 사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라며 현장에 있던 래리 엘리슨 오라클 회장도 언급해 잠재적인 구매자로 떠올랐다. 오라클은 현재 틱톡에 자사 클라우드 서버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 18일 서비스가 중지된 후 벌금을 물게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틱톡을 복구하는데 협력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앨리슨 회장이 이끄는 오라클과 오픈 AI, 소프트뱅크와 함께 미국 인공지능(AI) 구축에 5000억달러(약720조원)을 투자하는 '스타게이트' 합작법인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이날 발표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해외서도 응급의료 상담 가능”…LGU+, 소방청과 '안전·연결' 캠페인 진행
2025-05-11 12:00:00[OTT레이더] 강하늘X고민시의 쓰리스타 로맨스, 넷플릭스 '당신의 맛'
2025-05-11 11:54:28SKT 유심 교체 고객 143만명…6월 말까지 1077만장 유심 확보
2025-05-11 11:54:16SKT, '유심 교체' 대신 '유심 재설정' 도입…"티머니·금융인증서 교체 필요 X"
2025-05-11 10:00:08[현장]“어르신, 온라인 예약 하셨어요?”...SKT 유심교체 방문해보니
2025-05-10 07:07:00[DD퇴근길] 김영섭號 KT, 통신 다음은 AI…"MS 협력 성과 가시화"
2025-05-09 17:25:15[인터뷰] 의사 가운 벗고 AI 입다…실리콘밸리 홀린 ‘피클’
2025-05-11 11:55:43[IT클로즈업] 오프라인은 힘든데…네카오 커머스 1분기 호실적 비결은
2025-05-11 11:37:17국내 플랫폼 다 죽는다…"공정거래법 개정안, 경쟁력 약화할 것"
2025-05-09 19:09:38[DD퇴근길] 김영섭號 KT, 통신 다음은 AI…"MS 협력 성과 가시화"
2025-05-09 17:25:15[현장] "한계란 없는 날"…배민 팝업, 기억에 남을 한입은?
2025-05-09 16: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