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4명은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판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9일 '딥페이크 가짜뉴스 대응'을 주제로 디지털 공론장을 통해 진행한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 41.9%는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판별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번 대국민 설문조사는 10월 10일부터 11월 8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됐으며 597명의 국민이 참여했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94.5%는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매우 심각하는 응답이 55.9%, 심각하다는 응답이 38.5%였다.
특히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가 일반적인 가짜뉴스보다 부정적 영향이 더 심각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84.9%에 달했다.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접해본 응답자는 39%였으며, 딥페이크 가짜뉴스의 악영향으로 가장 우려되는 점은 인격적 피해가 48.2%로 가장 높았다.
또한 응답자 41.9%는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판별할 수 없다고 밝혔으며, 딥페이크 확산 원인으로 법‧제도 미비(36.5%)를 지적했다. 피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 방법으로 강력한 입법 및 정책(57.6%), 정부의 정책으로 ‘범죄자에 대한 처벌강화(36.9%)’를 요구했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딥페이크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가 크고, 기술 발전에 따라 사실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에 국민들이 공감하고 있다”며, “신속히 법‧제도를 정비할 수 있도록 방송통신위원회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설문조사 기간 동안 진행한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결과 ‘워터마크를 통한 딥페이크 추적 및 탐지’를 제안한 박지우, 유성모씨가 최우수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우수상에는 이윤주, 김지선, 명승희씨의 ‘PGD 기반 워터마킹을 이용한 가짜뉴스 판별’와 김채진, 이유진씨의 ‘인공지능 생성물 워터마크 표준안 마련 및 정착 지원’ 정책제안이, 장려상으로는 한찬혁, 윤상훈, 이성준씨 팀, 김수은, 전대호, 한태원씨 팀, 강희지씨의 정책 제안이 각각 선정됐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쿠팡플레이 '뉴토피아' 윤성현 감독 "계엄령·여객기 폭발은 우연, 깜짝 놀랐다"
2025-02-03 19:44:19KCA, 보안·네트워크 분야 스타트업에 3년 간 최대 6억원 지원
2025-02-03 18:16:06[DD퇴근길] 오픈AI CEO, 카카오 대표 만난다…AI 파트너십 맺을까
2025-02-03 17:52:141월 번호이동 '50만선' 붕괴…"갤럭시S25 대기 수요"
2025-02-03 13:04:13"AI로 업무속도↑"…SKT, '에이닷 비즈' CBT 돌입
2025-02-03 10:47:24크래프톤 김창한, 샘 올트먼 만난다...글로벌 AI 거물들과 밀착 행보
2025-02-03 19:54:17[DD's톡] 딥시크 수혜주에 오픈AI 동맹까지…카카오 주가 고공행진
2025-02-03 17:52:34[DD퇴근길] 오픈AI CEO, 카카오 대표 만난다…AI 파트너십 맺을까
2025-02-03 17:52:14컴투스 ‘MLB 9이닝스 25’, 한국 및 대만 원스토어 출시
2025-02-03 17:39:06카카오 정신아, 샘 올트먼 만난다…오픈AI와 협업 기대감 증폭
2025-02-03 15:35:16탄핵정국 변수에 셈법 복잡…네이버 제평위 부활 시점에 쏠린 눈
2025-02-03 13:4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