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hc치킨 새 모델로 발탁된 배우 황정민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국내 치킨전문점 수가 2년 연속 감소한 가운데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오히려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배달앱 중심의 치킨 소비가 확산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이로 인해 수익성은 악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가격 인상도 우려된다.
26일 공정거래위원회와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치킨전문점 개수는 지난 2022년 4만1436개로 지난 2020년보다 1307개 감소했다.
국내 치킨전문점 개수는 2019년 3만7508개에서 2020년 4만2743개로 늘어 처음으로 4만개를 돌파한 이후 2021년 4만2624개, 2022년 4만1436개로 감소세를 보였다.
치킨 브랜드 개수도 2020년 477개에서 2021년 701개로 늘어났다가 2022년 683개, 지난해 669개로 2년 연속 감소했다.
반면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 개수는 2019년 2만5687개에서 2020년 2만7303개, 2021년 2만8627개, 2022년 2만9358개 등으로 꾸준히 늘었다.
전체 치킨전문점 중 프랜차이즈 가맹점 비중은 2019년 68.5%, 2020년 63.9%로 낮아졌다가 2021년 67.2%, 2022년 70.9%로 높아지면서 현재 대부분을 차지한다.
업계는 이같은 프랜차이즈 쏠림 현상은 배달앱 시장이 커지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배달음식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2019년 9조690억원에서 2020년 16조4370억원, 2021년 25조4770억원으로 매년 급성장했다. 2022년에는 26조690억원까지 늘었다가 지난해 25조9610억원으로 줄었다.
하지만 치킨전문점의 수익성은 악화되고 있다. 치킨전문점 영업이익은 2020년 6236억6000만원에서 2021년 9306억1000만원으로 증가했다가 2022년 8603억원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2022년 기준 평균 매출 증가율도 치킨 가맹점이 6.5%로 주점(66.2%), 한식(17.2%), 피자(11.6%), 제과제빵(8.1%), 커피(7.4%)보다 낮았다.
특히 전체 치킨 가맹점의 64%가 연 매출 2억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연 매출 2억∼3억원은 23.3%, 3억원 이상은 12.7%로 각각 집계됐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계기 정보보호 투자 확대방안 논의
2025-05-22 14:00:00SKT, 신규 가입자 모집 재개되나…유심교체 3일간 100만명
2025-05-22 11:29:55KT, 전국 공중전화부스 개조해 ‘스마트 안전 쉼터’ 만든다
2025-05-22 09:35:16SKT 해킹은 北 소행?…과기정통부 "확인된 바 없어"
2025-05-21 17:05:11네오위즈, 'P의 거짓' DLC 게임 플레이 영상 공개
2025-05-22 13:27:40"Z세대 대학 축제에 뜬다"…스푼, 목소리 소개팅 이벤트 개최
2025-05-22 10:54:55예스24 독자의 선택 "새 대통령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은"
2025-05-22 10:4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