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김연섭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대표가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에서도 하이엔드 동박을 채택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연섭 대표는 20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유럽 2024'에서 열린 현장 기자간담회에서 "일부 배터리사는 삼원계 NCM(니켈⋅코발트⋅망간)을 채택하고 있지만, ESS는 결국 LFP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라며 "LFP를 하는 순간 동박은 얇아져야 한다"라며 라고 강조했다.
LFP 배터리는 NCM 배터리 대비 낮은 에너지 밀도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활물질을 전극에 도포해야 한다. 이는 얇은 동박 사용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 얇은 동박은 기존 동박 대비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해 전극에 도포할 수 있는 활물질의 양을 늘려 에너지 밀도를 향상한다.
LFP도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에너지 밀도를 요구하는 고객들이 많아질 것이고, 이렇게 될 경우 얇고 강한 동박 니즈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김 대표는 "박이 더 얇으면은 더 약하게 돼 더 얇으면서 강성을 유지해야 하고 이러려면 결국은 LFP 배터리는 하이엔드를 요구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뷰] 이해민 의원, "美 통상마찰 없이 '망 무임승차' 해결하려면"
2025-04-03 15:59:44KT알파 쇼핑,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 1위 ‘로보락’ 최신상 판매
2025-04-03 13:35:10[현장] ‘탈TV·탈모바일’ CJ온스타일, 성수서 독보적 행보…“발견형 쇼핑의 정점”
2025-04-03 12:00:00[이음5G 현황上] ‘철도·공항’ 교통 인프라 내 구축작업 속도…5G 특화망, 어디까지 왔나
2025-04-03 10:01:43넥써쓰, 통합 앱 ‘크로쓰x’ 출시… 크로쓰 생태계 본격 가동
2025-04-03 17:05:28넷마블 ‘RF 온라인 넥스트’, 장기 흥행 청신호… MMO 서비스 노하우 빛났다
2025-04-03 16:35:54[빅테크 24시] 美, 틱톡 인수 아닌 '알고리즘 임대' 검토…결정 연기되나?
2025-04-03 16:12:11"가족 여행은 5월, 국내로 떠난다"…여기어때, 이용자 선택은?
2025-04-03 16:07:54카카오게임즈 ‘오딘: 발할라 라이징’, 4월29일 글로벌 출시
2025-04-03 15:24:33AI 다음 무대는?…휴머노이드 로봇 SW 기술 경쟁 본격화
2025-04-03 15: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