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통신*방송

[SKT 40년] ⑭ CDMA 이후 다시 한번 ‘5G 세계 최초’ 금자탑 쌓다

전세계 내노라 하는 이동통신사들이 총출동하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모바일월드콩글레스(MWC)에서 올해도 SK텔레콤은 메인홀 중심에서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을 글로벌에 전파하고 있습니다. 올해로 40주년을 맞이한 SK텔레콤은 국내 1위 이통사를 넘어, AI 컴퍼니로 또 다른 패러다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과거 40년을 조망해보고 미래 ICT 개척자로서 SK텔레콤의 비전을 살펴봅니다. <편집자주>

[Ⓒ 픽사베이]
[Ⓒ 픽사베이]

[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대한민국이 전 세계 최초로 5G(5세대이동통신)의 이정표를 세운 지 5년이 됐다. 2000년 세계 최초로 3G CDMA 기반 IMT-2000 서비스를 실시한 이후 19년 만에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의 면모를 보여준 성과였다.

5G가 성숙기에 돌입한 한편, 6G 예상 상용화 시점이 6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SK텔레콤이 어떠한 전략으로 ‘통신 1위 사업자’ 위상을 공고히 할지 주목된다.


세계 최초 5G 상용화… 상용화 69일 만 가입자 100만명

5G 연구개발에서 상용화되기까진 10여년이 걸렸다. 국내에서 5G 연구개발에 처음 착수한 시점은 2011년이었다. 당시 언론은 5G에 대해 “4G를 뛰어넘는 기가급 속도 구현” “3D와 4D 동영상까지 모바일로 실시간 전송할 특급 기술”이라고 소개했다.

5G 상용화를 본격적으로 준비한 건 문재인 정부에 들어서였다. 2017년 말 로드맵 ‘초연결 지능형 네트워크 전략’을 수립한 데 이어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선 세계 최초로 5G 시범서비스를 선보였다. 같은해 4월에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위해 ‘신규 설비 공동구축 및 기존 설비 공동 활용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SK텔레콤을 비롯한 이통3사는 정부 목표(2019년 3월)에 맞춰 5G 통신환경을 마련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을 냈다. 결국 국내 5G 상용화 목표 시점이 4월로, 한 달가량 미뤄지면서 세계 최초 상용화가 불확실해졌던 때도 있었다.

실제 간발의 차이로 ‘세계 최초’ 타이틀을 뺏길 뻔하기도 했다. 마지막까지 미국 최대 이동통신 버라이즌과 최초 타이틀을 두고 경쟁했다. 정부와 이통3사가 구체적인 5G 상용화 시점을 고려하던 중, 미국 현지에선 이런 헤드라인의 기사가 떴다. 버라이즌이 5G 상용화 시점을 4월11일에서 4일로 앞당긴다는 소식이었다.


“美 버라이즌: 5G 서비스 일주일 앞당겨"

이에 과학기술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이통3사와 급히 5일로 예정됐던 5G 첫 개통을 당일 밤 11시로 앞당겼다. 버라이즌의 5G 상용화와는 불과 58분 차이였다. 피겨 선수 김연아와 프로게이머 이상혁(페이커), 독도에 거주 중인 통신사 직원의 아내 등 8명이 각 이통사의 5G 1호 가입자가 됐다.

이통3사는 삼성전자의 세계 최초 5G 스마트폰 ‘갤럭시S10 5G’로 상용화를 이뤘다. 버라이즌은 LTE 스마트폰 ‘모토Z3’에 5G 통신 모듈을 장착해 사실상 ‘반쪽짜리’ 상용화에 가까웠다.

국내 5G 서비스 가입자는 상용화 이후 빠르게 증가했다. 상용화 69일 만인 2019년 6월10일 100만명을 돌파했다. 5G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통신사들이 단말기 보조금 대란 등을 일으키며 마케팅 경쟁을 펼친 결과였다.


LTE 대비 20배 빠른 5G?…'진짜 5G'라는 환상

최기영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기영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축배를 올리 것도 잠시, 5G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은 커져갔다. 5G가 잘 안 터졌기 때문이다. 5G 평균속도는 LTE 대비 3~4배에 그쳤으며 곳곳에선 그나마도 안 터졌다. 결국 5G폰을 LTE로 쓰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지속됐다. 이에 정부가 세계 최초 타이틀 획득을 위해 무리한 일정을 추진한 ‘촌극’이란 비판도 제기됐다.

이런 5G 서비스 품질은 매해 국정감사 도마 위에 올랐다. 특히 과거 LTE보다 20배 빠르다고 홍보했던 것이 문제가 됐다. 정부와 이통사는 상용화 당시 5G를 두고 2GB(기가바이트) 영화를 1초 안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소개하며 LTE와 비교해 20배 빠른 속도임을 강조했다.

하지만 과기정통부가 상용화 1년이 지나 조사한 결과는 달랐다. 2020년 8월 발표한 5G 품질평가 따르면 5G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56.56Mbps(초당 메가비트)에 그쳤다. LTE 평균 속도인 158.53Mbps 대비 겨우 4배 빠른 수준이었다.

이에 더해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감에서 28㎓(기가헤르츠) 주파수를 이용한 전 국민 대상 초고속 5G 서비스를 할 계획이 없음을 밝혀 논란은 더욱 커졌다. 그동안 정부와 이통사에서 강조해왔던 20배 빠른 속도가 바로 28㎓ 주파수 기반 5G 서비스를 기준으로 제시된 것이기 때문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가 정의한 5G는 이론상 LTE보다 20배 빠른 20Gbps 속도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 맞다. 다만 주파수 대역에서 차이가 있다. 국내에서 5G 주파수는 3.5㎓와 28㎓ 대역이 할당됐는데 저주파인 3.5㎓ 대역은 속도보다 커버리지에, 초고주파인 28㎓는 커버리지보다 속도에 강점이 있다. 사실상 20Gbps는 28㎓ 대역에서 가능한 속도인 것이었다. 굳이 말하자면 ‘진짜 5G’는 28㎓ 대역 5G라고 할 수 있는 가운데 과대·허위광고에 대한 통신사의 해명과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애물단지 된 28㎓ 주파수…결국 3사 모두 할당취소

[Ⓒ SK텔레콤]
[Ⓒ SK텔레콤]

사업자로선 억울한 측면도 있었다. 이통3사는 전국망 서비스는 3.5㎓ 대역을 통해 서비스하고, 핫스팟과 기업서비스(B2B)용으로 28㎓ 대역을 활용하기로 했다.

당초 과기정통부가 두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면서, 10년 기간을 부여한 3.5㎓ 대역과 달리 28㎓는 대중화가 어렵다고 판단해 5년만 부여했다. 28㎓ 대역의 특성상 B2C 5G 서비스에 이용하기에는 효율적이지 않았다. 초고주파 대역은 전파 도달거리가 짧고 회절성이 약해 저주파 대역 대비 훨씬 촘촘하게 기지국을 깔아야 했기 때문이다. 더 많은 투자를 수반해야 한다는 의미다. 게다가 장비나 단말기 등 서비스 구현을 위한 생태계도 아직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였다.

즉, 28㎓ 대역은 처음부터 5G 전국망 용도가 아니었으며, 결국 ‘진짜 5G’라는 것은 처음부터 의미가 없었다.

하지만 ‘진짜 5G’ 논란을 키운 것은 통신사들이었다. 5G 상용화 초기 이통사들은 5G에 대해 LTE 대비 20배 빠르다고 홍보하면서 가입자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했다. 기술적인 최대 속도는 서비스 초기에 당연히 구현하기 어려운 데다, 당초 전국망 구축 계획도 없는 28㎓ 5G의 최대 속도를 내세워 선전했던 것이다.

결국 정부는 이통사로부터 5G 28㎓대역 주파수를 회수하기에 이르렀다. 2022년 말 과기정통부는 할당조건 미이행에 따른 제재 처분을 통신3사에 사전 통지하고, 최종 처분 전 처분 대상자의 의견청취를 위한 청문을 실시했다. 청문회에서 통신3사는 정부의 처분에 대해 특별히 이견을 밝히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대신 할당조건을 이행하지 못한 점에 대해 “송구스럽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회수된 주파수 대역은 신규 이동통신 사업자인 ‘스테이지엑스’에 할당됐다. 최종 낙찰가는 4301억으로, 이통3사가 낙찰받았던 금액의 두 배를 넘어섰다.


5G 추가 할당여부에 '촉각'…저조한 트래픽 수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 가운데 정부가 당초 5G 주파수 추가할당을 계획한 시기가 다가왔다. 과기정통부는 연내 3.70~4.0㎓ 대역에서 5G용 주파수로 추가 할당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할당폭을 두고 정부가 막판 고심에 들어갔다.

3.70㎓ 이상 대역은 앞서 SK텔레콤이 추가 할당을 신청한 대역이다. SK텔레콤은 LG유플러스가 3.40~3.42㎓ 대역 20㎒ 추가 할당을 신청하자, 2022년 1월 자사 인접 주파수인 3.70~3.72㎓ 대역 20㎒ 주파수 추가 할당 신청으로 맞불을 놓았다. 해당 대역에 대해 과기정통부도 연구반을 통해 2년 가까이 검토 중인 상황이다.

하지만 광대역 할당이라면 입장이 다르다. SK텔레콤뿐 아니라 현 시점에서 300㎒ 공급은 정부와 사업자 모두에게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이통3사 모두 당장 2026년 LTE용 주파수를 재할당 받기 위해 충분한 재원을 확보해둬야 하는 가운데 광대역 공급을 재정적으로 감당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사실 정부 계획대로라면 이미 사업자에 광대역을 공급해야 했다. 2019년 정부가 발표한 ‘5G 플러스 스펙트럼 플랜’에 따르면 “2021년 고정위성용으로 분배돼 있는 3.70~4.0㎓에 대해 클린존 도입 등을 통해 이동통신용으로 확보 추진한다”고 되어있다.

하지만 트래픽 수요 예측은 어긋났다. ETRI가 2018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공급된 3.5㎓ 대역은 오는 2023년 포화가 예상됐다. 하지만 현재 이통업계에선 5G 트래픽이 예상과는 달리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