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나연 기자] 특정 나라를 여행할 동안 잠깐 쓰고 말 해외 앱을 내려받는 것에 생각보다 많은 사람은 부담을 느끼곤 한다. 이런 번거로움을 줄여주기 위해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T앱 내 다양한 서비스를 해외에서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작업에 한창이다.
동남아 모빌리티 대표 앱 ‘그랩’ 역시 지난 2019년 이후 카카오모빌리티와 긴밀한 협업 관계를 유지하는 기업 중 하나다.
척 킴 그랩 비즈니스 개발·자본시장 총괄은 8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넥스트 모빌리티:네모2023(NEMO2023)’에서 ‘미래를 준비하는 그랩 전략’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11년 전 택시 호출 서비스로 시작한 그랩은 동남아시아 전역에 걸쳐 모빌리티 배달과 금융 서비스, 기업형 법인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종합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척 킴 총괄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인 20명 중 1명이 매달 그랩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2019년 10월 국내에서 사용하는 카카오T로 현지 차량 그랩을 호출할 수 있는 ‘카카오T 로밍’ 서비스를 시작하며 베트남에 처음 진출한 바 있다. 그랩이 카카오모빌리티와 손잡은 이유는 그랩 측이 핵심 시장으로 보는 인바운드(외국인의 국내 여행) 부문 역시 한국과 중국 같은 동아시아이기 때문이다.
현재 그랩은 한국어와 중국어, 일본어 등 여러 언어 버전도 서비스하고 있다. 더 나아가 카카오모빌리티와 알리페이 등 해외 플랫폼사들과 협업해 주요 타깃인 외국인 관광객이 기존에 사용하는 앱을 현지에서도 똑같이 이용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
현지 시장에서 어떤 차량을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볼 뿐만 아니라, 자국 통화로 표시된 요금도 바로 확인 가능한 식이다. 앱상에서 선호하는 결제 방식으로 결제 처리도 이뤄진다.
척 킴 총괄은 그랩이 동남아시아 최대 모빌리티 앱으로서 비즈니스를 추구하는 한편, 사회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기울이는 노력도 소개했다.
척 킴 총괄은 “그랩이 관광지 매핑 솔루션으로 그동안 표시되지 않았던 5000여개 이상 도로 구간과 주요 관심 지역 5000만개 이상 데이터를 지도화했다”며 “지구 온난화가 심해진 데 따라 전기차 차량 100% 전환 등을 목표하는 등 오는 204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과기정통부, 현대홈쇼핑·NS쇼핑 재승인 결정…2032년까지
2025-05-17 05:06:24알뜰폰 증가률 1%대 회복…1만원 5G 요금제 효과 가시화?
2025-05-16 17:40:35[현장] 서울 성수서 셀럽 사로잡은 ‘칼 라거펠트’ 철학…“한국 사랑 돋보이네”
2025-05-16 14:59:11SKT, 이번 주말 약 90만개 유심 확보한다…“QR 유심재설정 준비 중”
2025-05-16 11:09:11“엄마아빠, 저예요” LGU+, AI로 순직소방관 목소리 복원
2025-05-16 09:25:30이해진 네이버, 첫 해외 일정으로 실리콘밸리行…글로벌 AI 투자 본격 시동
2025-05-16 18:43:15"경찰도 전기자전거 구독"…스왑, 서울경찰청 시범 공급
2025-05-16 18:42:14NOL 인터파크투어, 항공권 취소·환불 수수료 무료 프로모션 진행
2025-05-16 17:32:09[DD퇴근길] "구글에 지도 반출하면 생태계 무너질 것"…스타트업, 한 목소리
2025-05-16 17:22:59아디다스 고객 정보 유출…"2024년 이전 고객센터 문의자 대상"
2025-05-16 17:22:14네이버,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 진행…"소성공인과 동반 성장"
2025-05-16 16: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