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통신*방송

“양자암호 리더는 한국…정부가 판깔고 기업이 시장 만들어야”

심동희 SK텔레콤 혁신사업팀장 [Ⓒ 디지털데일리]
심동희 SK텔레콤 혁신사업팀장 [Ⓒ 디지털데일리]

[디지털데일리 권하영 기자] SK텔레콤이 철통보안을 자랑하는 양자키분배(QKD)와 합리적 가격의 양자내성암호(PQC) 기술을 각각 결합한 ‘양자보안통신(QSC)’ 표준화를 추진한다. 한국의 양자암호 주도권을 자신하는 가운데 정부-기업의 협력도 강조했다.

심동희 SK텔레콤 혁신사업팀장은 28일 오전 서울 중구 삼화타워에서 가진 기자설명회를 통해 “현재 양자암호 시장은 한국이 주도하고 있다고 본다”면서 “기술적인 측면도 있지만 상용 측면에서 한국이 앞장서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양자암호 기술의 새로운 대안으로 ‘QSC’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29일부터 9월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 하반기 국제회의에 제안할 방침이다.

기존 양자암호 기술로는 QKD와 PQC가 있는데 각각의 장단점이 분명하다. QKD는 양자역학 특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해킹이 불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비싼 스페셜 하드웨어를 키분배 장치 구간마다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PQC는 수학적 난제를 기반으로 양자컴퓨터가 암호를 푸는 데 걸리는 시간을 상당 부분 지연시키는 기술이다. 소프트웨어 방식이므로 확장성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신규 알고리즘 위협이 있을 경우 보안이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SK텔레콤이 개발하는 QSC는 이 두가지의 장점을 결합한 기술이다. QKD는 대규모로 저장되는 데이터센터와 백업데이터센터간 그리고 공공·국방·금융 등 데이터에 적용하고, PQC는 일반 엣지 디바이스 무선 구간에 적용하는 투트랙 방식으로 시너지를 내는 것이다. 쉽게 말해 비싸지만 보안이 강력한 QKD는 그만큼 중요한 데이터를, 해킹 위험이 조금이라도 있는 PQC는 덜 민감한 데이터를 지킨다고 보면 된다.

SK텔레콤은 양자 기반 글로벌 보안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ITU-T를 포함해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와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등 권위있는 국제기구에서 표준 수립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중 ITU-T 내에는 11개의 산하 연구반이 존재하며, 정보보호연구반(SG17)은 보안에 특화된 조직으로 연2회 개최되는 국제회의를 통해 보안에 대한 국제표준 및 기술보고서 개발을 위한 활동을 한다. SK텔레콤은 양자보안 및 차세대 보안 기술에 대한 표준을 수립하는 실무작업반의 의장을 맡아 국제 표준 수립을 선도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표준화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비즈니스화도 가능해질 것으로 내다본다. 심동희 팀장은 “보통 표준화를 시작하면 짧게는 2년 길게는 3년 정도 프로세스를 거치기 때문에 아마 표준화가 끝나고 다른 사업자들도 그 표준을 활용하게 되면 2~3년 후에는 시장이 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SK텔레콤은 이미 2016년 상용 LTE망과 2019년 서울 - 대전 구간 5G망에 QKD를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유럽, 싱가포르 등 글로벌 시장에서 양자암호통신 구축 사업을 잇따라 수주하는 쾌거도 이뤄냈다.

양자암호통신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2년 이후 연평균 39.8% 성장해 2030년에는 24조5793억원 규모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가운데 한국이 양자암호통신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의 협력이 필연적이라는 지적이다. 심 팀장은 “정부는 기업이 연구개발을 잘할 수 있는 환경과 판을 만들어주고, 그 안에서 기업이 실제 쓸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 시장을 창출하는 게 중요하다”며 “전세계적으로 각국의 양자암호 관련 예산이 늘어나고 있고, 우리 정부도 잘하려는 의지가 커 많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