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보안

누누스터디 “시대인재, 메가스터디 합의되면 다른 곳 추출기 뿌리고 접겠다”

메가스터디 등의 인터넷강의 영상을 유포 중인 텔레그램 채널 '누누스터디'. 시대인재와 메가스터디에 합의할 것을 협박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메가스터디 등의 인터넷강의 영상을 유포 중인 텔레그램 채널 '누누스터디'. 시대인재와 메가스터디에 합의할 것을 협박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시대(인재), 메가(스터디) 등 아무곳이나 합의하면 깔끔하게 합의한 곳 말고 다른 곳 추출기 뿌리고 접겠습니다.”

1일 인터넷강의(이하 인강) 영상을 불법으로 유포하고 있는 텔레그램 채널 ‘누누스터디’의 운영자가 시대인재, 메가스터디를 대상으로 협박을 일삼고 있다. 자신과 합의하지 않으면 인강 영상을 추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유포하겠다는 내용이다.

누누스터디 채널은 7월10일 생성됐다. 운영자는 인원이 많아지면 영상을 더 공개하겠다는 말과 함께 메가스터디 인기 강사의 강의를 공유했다. 또 7월28일에는 입시학원 시대인재를 해킹한 증거라며 이름과 비밀번호, 휴대전화번호 등을 텍스트로 공유하기도 했다. 샘플로 공개한 것은 500여명의 정보다.

운영자는 29일 “시대인재 리글래스 가입자 전부 다 털었다. 보안이 허술해서 인증번호가 API로 넘어온다. 추가 공개 예정은 없고 일부만 공개했다. 영상은 상위방에 공개 예정이다. 신상 정보를 뿌린 건 해킹 증명용”이라고 말했다. 또 “시대인재 털린 거 다인지했고 조치도 했는데 공지 하나도 없죠?ㅋ”라며 피해를 입은 시대인재를 조롱하기도 했다.

채널 구독자가 5000명이 되면 인강 영상 추출기를 공유하겠다며 홍보하라고도 전했다. 이에 더해 1일에는 5000명이 될 때까지 합의하지 않을 경우 추출기를 공유하겠다며, 시대인제와 메가스터디에게 합의를 요구했다. 데이터를 인질로 금전을 갈취하는 전형적인 해킹 수법이다. 오후4시50분 기준 현재 채널 구독자는 3900여명이다.

또 그는 “공유가 불법이지 다운(로드), 소장은 잡는 것도 불가능하고 불법도 아니다”라며 “구독자 분들은 걱정 안 하셔도 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여기에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직접 침해 행위를 하거나 복제‧유포를 한 경우뿐만 아니라 저작권자 동의 없이 다운로드를 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법으로 볼 수 있다. 다만 토렌트 등 다운로드와 함께 공유가 이뤄지는 것과 달리 단순 다운로더는 처벌받는 사례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운로더는 차치하고서라도 누누스터디의 행각은 정보통신망법, 저작권법에 더해 개인정보보호법까지 위반한 것이다. 실제 취재 결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는 7월31일 신고에 따라 해당 사안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한편 누누스터디의 범법 행위와는 별개로, 인강을 통해 수익을 벌어들이는 학원가가 정보보호에 지나치게 무관심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될 전망이다. 메가스터디교육이 공개한 정보보호 현황에 따르면 메가스터디교육은 2022년 정보보호에 6억5975만원을 투자했다.

메가스터디교육의 2022년 매출액 7473억원, 영업이익 1345억원, 당기순이익 1018억원에 비하면 초라한 수치다. 티빙이나 지니뮤직 등 온라인으로 영상 또는 음원을 제공하는 여타 기업과 비교하면 메가스터디교육의 투자 소홀은 더 부각된다. 매출은 메가스터디교육의 3분의1 수준인 2개 기업은 정보보호에는 메가스터디교육의 3~4배 이상 예산을 할애했다. 범죄 행위자인 누누스터디에 대한 수사와 함께 기업의 자산, 비즈니스를 지키기 위한 적절한 노력이 촉구되는 대목이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