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인터넷

카톡 사진 설명 달고 네이버 전문성 고객센터 운영…디지털 접근성 높인다

네이버와 카카오 로고 [사진=네이버, 카카오]
네이버와 카카오 로고 [사진=네이버, 카카오]

[디지털데일리 이나연 기자] 매년 5월 셋째 주 목요일은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GAAD)’이다. 장애인들의 디지털 접근성에 대한 인식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지난 2012년 제정됐다.

18일 카카오는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을 맞아 디지털 접근성 개선을 위한 노력을 소개했다. 지난해 카카오는 디지털 접근성 강화를 위한 ‘배리어 프리 이니셔티브’를 선언하고, 국내 정보기술(IT) 기업 최초로 디지털 접근성 책임자(DAO)를 선임한 바 있다.

먼저 카카오는 지난주 카카오톡 업데이트를 통해 채팅방에 사진과 동영상을 전송할 때 이를 설명하는 텍스트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선보였다. 사진 및 동영상 편집 화면 하단 입력창에 50자 내외 설명을 입력할 수 있고, 채팅창에 설명이 있는 이미지나 동영상이 전송되면 우측 하단에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마크가 보이도록 했다.

스마트폰에서 스크린 리더(화면 낭독) 기능을 활용하는 시각 장애인들이 채팅방에서 주고받은 멀티미디어에 작성된 설명을 들으며 ‘글로 사진·동영상을 볼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이자, 카카오가 지속 이행 중인 배리어 프리의 새로운 사례다.

지난 3월에는 카카오톡에 음성메시지 수신 때 이를 자막처럼 텍스트로 표시해주는 기능이 추가되기도 했다. 시각 장애인이 보낸 음성 메시지를 텍스트로 표시해주면 전농, 난청 등 청각 장애인 이용자가 어려움 없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지난 1월에는 카카오톡 이모티콘에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는 기능도 도입했다. 기존에는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에만 적용돼 있었지만, 대상을 창작자 이모티콘 전반으로 확대해 카카오톡 채팅방 내 전송된 모든 이모티콘 음성 안내가 가능해졌다.

네이버는 올해 상반기 네이버 접근성 고객센터를 열었다. 다양한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어려웠던 부분, 궁금한 점에 대응하는 채널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가치봄 서비스 경우, 영화와 같은 동영상 자막과 화면 해설 서비스를 제공해 장애인·비장애인 모두 동영상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베리어 프리 서비스다.

이 서비스에서 영화를 구매하고 내려받을 때, 이용자는 모든 컨트롤러에 키보드로 접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절한 대체 텍스트를 읽어준다. 영화를 내려받는 과정에서 다운로드 상태도 읽어준다. 환경설정과 같은 팝업 레이어에 있는 라디오 버튼 역시 화살표 키로 조작 가능하도록 구현했다.

마이박스(MYBOX)라는 명칭으로 변경된 네이버 온라인 클라우드 서비스는 파일 목록에 개별로 파일명을 제공해 사용자가 파일명으로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게 했다. 파일 전송 상태에 따른 정보를 상황에 맞게 제공해 시각 장애인 이용자도 서비스 사용 경험을 개선했다.

또한 모든 페이지 제목 콘텐츠에 제목 유형 정보를 제공해 해당 페이지 정보를 바로 인지하게 했고, 사진 탭은 날짜별 제목 유형 정보를 통해 페이지 내 빠른 탐색이 가능하게 했다.

김혜일 카카오 DAO는 “카카오는 다양한 영역에서 우리 사회 소통과 연결을 책임지는 만큼, 디지털 정보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디지털 약자 격차나 소외가 없도록 모두를 위한 기술 적용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웹 접근성에 대해 알려주는 네이버 사이트 널리 측은 “그동안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됐다”며 “아직 부족하더라도 차근차근 섬세하게 모두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