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이하 협회)가 22일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디스플레이 발전전략 협의체’를 개최하고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교차 공급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협의체에는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미래나노텍 ▲AP시스템 ▲VD인스트루먼트 및 ▲홍익대학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에서 산·학·연 관계자 15명이 참석했다.
협회는 협의체가 약 90%를 해외에 의존하는 장비 부분품에 대한 교차공급 활성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지난해 8월 수요조사 및 공급기업 면담 등을 통해 교차공급 가능성이 높은 후보품목으로 장비 부분품 MFC(Mass Flow Controller) 품목을 도출했다.
MFC는 현재 일본의 호리바(HORIBA)가 세계시장의 80%를 점유 중이다. 그러나 국내 부분품 기업의 기술 수준은 현재 일본 제품과 동등한 수준까지 향상돼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이날 국내 장비기업 A사는 국산 MFC로 대체할 경우 동일한 성능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B사는 국내 조달을 통해 지난해 발생한 공급 지연과 가격 상승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협의체 참석자 모두 MFC를 포함한 소부장 교차공급 확대 필요성에 공감하며 튼튼한 소부장 생태계 구축을 위해 산학연관 협력을 더욱 강화하자고 입을 모았다. 더불어 최근 빠르게 성장 중인 중국 소부장 기업 동향을 공유하고, 그에 따른 국내 대응 방안도 논의했다.
중국 전문가 엠케이차이나컨설팅 구영미 상무는 "중국 패널기업의 영향력 확대와 첨단산업에 대한 공급망 자립화, 강소기업 육성 등 정책 요인에 힘입어 중국 소부장 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은 기술 차별화, 공급선 다변화 등을 통해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협의체 소재분과위원장인 미래나노텍 김철영 회장은 “중국의 소재 국산화율 향상 정책으로 보조금 지원뿐 아니라 로컬 생산 제품을 우선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으며 장비분과위원장인 AP시스템 정기로 회장은 “중국 기업이 모듈장비뿐 아니라 기술력이 요구되는 레이저 장비까지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소부장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이동욱 부회장은 “협회는 한일 협력 확대를 위해 협회(KDIA-SEAJ)간 교류회(22.12), 한일 무역상담회(23.2)를 개최한 바 있는데, 이번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간 기술, 무역 등에 대한 협력 논의가 더욱 탄력받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소부장 기업에 있어 중국은 수출확대, 일본은 기술협력을 위한 맞춤형 전략을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IT클로즈업] ‘망 사용료 논쟁’ MWC서 재점화될까…“주요국 입장 예의주시해야”
2025-02-21 11:30:17[DD퇴근길] 제로트러스트 실제 적용사례·정부정책 한눈에
2025-02-20 17:15:10"KT·네카오·메가존 합류"…ICT기업 품은 한경협, DX 혁신 꿈꾼다
2025-02-20 15:34:56SM·카카오엔터 합작 英 보이그룹 '디어앨리스' 공식 데뷔
2025-02-21 17:28:39[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29CM, 상반기 ‘이구홈위크’ 전년비 거래액 2배 돌파…“주방용품·홈 패브릭 상품 추천 적중”
2025-02-21 16:24:36위메이드 ‘레전드오브이미르’, 구글 플레이 인기 1위 달성
2025-02-21 16:16:01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탑’, 일본 현지 CBT 시작
2025-02-21 14:55:42"D.P. 신드롬 한 번 더"…한준희 신작 '로드', 넷플릭스로?
2025-02-21 13:2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