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다양한 전자제품이 우리 곁에서 회자정리 거자필반(會者定離 去者必返)을 반복했습니다. 모두에게 사랑받던 기기가 어느 순간 사라지거나 오랜 세월이 지난 뒤 부활하기도 했습니다. <디지털데일리>는 그 이유를 격주 금요일마다 전달하려고 합니다. <편집자주>
[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전자제품의 발전은 항상 유선에서 무선으로 향합니다. 간단한 예시로 전화기가 있죠. 전화기는 선을 반드시 연결해야 해 실내나 특정 공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휴대폰이 상용화되며 이런 제약은 사라졌습니다. 이어폰도 마찬가지입니다. 기기에 물리적으로 연결해 사용하는 유선 이어폰에서 시작해 이제는 무선 이어폰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현대식 유선 이어폰은 지난 1982년 탄생했습니다. 주인공은 바로 소니의 ‘MDR-E252’인데요. 소니의 ‘누드’ 시리즈 중 첫 번째 제품이었습니다.
MDR-E252는 ‘인이어 헤드폰’이라는 이름으로 설명됩니다. 이 제품이 탄생하기 전에는 귀를 완전히 덮는 헤드폰만 있었는데, 헤드폰 몸통을 줄여 휴대성을 높이고 귀에 꽂는 형태로 탈바꿈한 제품이었습니다.
이어폰은 음악과 뗄래야 뗄 수 없는 존재죠. MDR-E252가 탄생한 배경에도 음악이 있는데요. 소니가 1979년 휴대용 음악 감상 기기인 워크맨을 처음 발명한 후 3년 뒤 좀 더 편하게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MDR-E252을 내놓았다는 후문이 있습니다. 참고로 워크맨의 정식 명칭은 ‘Walkman TPS-L2’입니다.
소니가 내놓은 이 제품은 업계의 표준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80년대와 90년대,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큰 변화 없이 이어졌는데요.
처음으로 이어폰의 선을 뚝 자른 곳은 젠하이저였습니다. 최근 성황리에 방영을 마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우영우가 착용했던 헤드폰을 기억하시나요? 그 헤드폰의 제조사가 바로 젠하이저입니다.
젠하이저는 지난 2008년 ‘MX W1’라는 이름의 무선 이어폰을 선보였습니다. 지금과 비슷하게 휴대용 도킹스테이션으로 충전하는 방식이었죠. 첫 등장 후 8년 뒤인 2016년, 애플이 ‘에어팟’을 내놓으면서 비로소 무선 이어폰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게 됩니다. 지금은 현대인의 필수품처럼 여겨지고 있죠.
무선 이어폰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노이즈캔슬링’ 기능은 언제 처음 생겼을까요?
노이즈캔슬링은 소음을 분석해 소음의 ‘역 위상’ 소리를 만들어 소음을 상쇄하는 것을 뜻합니다. 역 위상이란 주파수나 주기가 180도 차이 나는 신호를 의미하는데요. 한 마디로 소음과 정반대의 신호를 만들어 귀에 쏘아 주면 소음이 사라지는 방식이죠. 크게 ‘패시브’와 ‘액티브’ 방식으로 나뉘는데요. 최근 활용되는 방식은 대부분 액티브노이즈캔슬링(ANC)입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OTT레이더] ‘배구여제’ 김연경의 마지막 스파이크…생중계로 감상해볼까
2025-05-17 10:09:44과기정통부, 현대홈쇼핑·NS쇼핑 재승인 결정…2032년까지
2025-05-17 05:06:24알뜰폰 증가률 1%대 회복…1만원 5G 요금제 효과 가시화?
2025-05-16 17:40:35[현장] 서울 성수서 셀럽 사로잡은 ‘칼 라거펠트’ 철학…“한국 사랑 돋보이네”
2025-05-16 14:59:11SKT, 이번 주말 약 90만개 유심 확보한다…“QR 유심재설정 준비 중”
2025-05-16 11:09:11이해진 네이버, 첫 해외 일정으로 실리콘밸리行…글로벌 AI 투자 본격 시동
2025-05-16 18:43:15"경찰도 전기자전거 구독"…스왑, 서울경찰청 시범 공급
2025-05-16 18:42:14NOL 인터파크투어, 항공권 취소·환불 수수료 무료 프로모션 진행
2025-05-16 17:32:09[DD퇴근길] "구글에 지도 반출하면 생태계 무너질 것"…스타트업, 한 목소리
2025-05-16 17:22:59아디다스 고객 정보 유출…"2024년 이전 고객센터 문의자 대상"
2025-05-16 17:22:14네이버,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 진행…"소성공인과 동반 성장"
2025-05-16 16: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