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연기관차→전기차·자율주행차 전환으로 수요 증가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코로나19 국면만큼이나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도 장기화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향후 일부 제품은 완화될 수는 있겠으나 전반적인 추세는 2~3년간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도체 제조사는 물론 관련 소재 업체에도 긍정적이다.
15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2022년 차량용 반도체 시장 성장률은 17.8%로 전망된다. 부족 사태가 심화한 지난해(24.6%)를 기점으로 성장세가 뚜렷하다. 옴디아는 2023년 11.3%, 2024년 13.4%, 2025년 12.9% 등으로 두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해당 시장 규모는 지난해 59조원으로 추정된다. 오는 2025년에는 100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러한 추세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반도체가 확대된 영향이다. 기존 내연기관차는 200~300개 반도체가 투입됐다면 하이브리드차는 500~700개, 전기차는 1000개 이상이다. 자율주행 시대로 가면 수천 개로 늘어난다.
차량용 반도체 종류로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엔진컨트롤유닛(ECU) ▲전력관리칩(PMIC) ▲디지털신호처리장치(DSP) ▲전장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등과 이들 제품을 보조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IC) 및 각종 센서 등이 있다.
자동차 산업 특성상 진입장벽이 높고 개발 기간과 비용 대비 수익 나지 않아 그동안 국내 업체는 차량용 반도체에 공을 들이지 않았다. 하지만 시장 자체가 커지는 데다 공급난 여파로 차량 제조사가 협력사 다변화에 나서면서 한국 기업에 기회가 생기고 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석열 파면] 헌재 “야당의 방통위원장 탄핵소추, 계엄령 요건 될 수 없어”
2025-04-04 16:47:39SKT 유영상 “돈버는 AI 성과 본격화”…AI 성과 가시화 재차 강조
2025-04-04 10:44:29'尹 운명의 날'…통신3사, 탄핵선고 앞두고 총력 대비
2025-04-04 10:08:18[단독] 유료방송 위기여파 PP로…“콘텐츠 사용료 약 1200억원 감소 전망”
2025-04-03 17:44:35[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인터뷰] 이해민 의원, "美 통상마찰 없이 '망 무임승차' 해결하려면"
2025-04-03 15:59:44[윤석열 파면] '탄핵 기념 정식' 인증샷 급증…中 포털서는 실시간 검색어 1위도
2025-04-04 16:49:16우아한형제들, 독일 모기업 DH 자사주 매입·소각…5372억원 지급
2025-04-04 16:48:46우아한형제들, 지난해 매출 4조원 벽 뚫었지만…무료배달 경쟁에 영업익 감소
2025-04-04 15:16:39지난해 외형 커진 배민·쿠팡이츠·요기요…수익성 개선은 공통 과제로
2025-04-04 15:16:17[네카오는 지금] 美 협상카드된 ‘플랫폼 규제 완화’…새로운 기회될까
2025-04-04 14:45:38김수현 '넉오프' 보류한 디즈니+, '재혼황후'로 텐트폴 채울까
2025-04-04 12:2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