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킥오프 회의를 가진 ‘28㎓ 대역 5G 민·관 워킹그룹(이하 워킹그룹)’은 8월 중순 경 28㎓ 5G 해외구축 사례 조사를 위해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현재 워킹그룹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통신3사, 단말기·장비 제조사(삼성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방송통신전파 진흥원(KCA) 등이 참여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워킹그룹을 통한 다각적 논의와 민간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거쳐 28㎓ 대역 5G 추진방향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말까지 격주 단위 운영하고 필요 시 소그룹으로도 운영해 속도감 있게 추진할 방침이다.
워킹그룹에선 ▲28㎓대역 해외 구축사례 조사·분석, ▲28㎓ 장비․단말 생태계 분석, ▲28㎓ 단말 탑재·28㎓ 상용 서비스 및 B2C 핫스팟 구축 방안, ▲28㎓ 구축 이행점검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이번 방미는 현장 답사를 통해 28㎓ 5G 해외 동향 및 실제 구축 사례 등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지난 2018년 12월 과기정통부는 28㎓ 대역에서 각각 800㎒ 폭을 통신3사에 할당했다. 통신3사는 6100억원의 할당 대가를 지급했으나 4년이 다 되어가는 지금도 28㎓ 주파수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통신업계는 28㎓와 같은 초고주파 대역은 전파 도달거리가 짧고 회절성이 약한 등 여러가지 기술적 제약이 있고 장비나 단말, 콘텐츠 등 서비스 생태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다는 의견을 피력해왔다.
하지만 정부는 통신사의 28㎓ 기지국 투자 확대 등을 계속해서 독려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현재 정부와 통신3사는 28㎓ 대역을 지하철 와이파이 백홀 구축 등에 활용하고 있지만 이외엔 별다른 사업모델(BM)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업계는 정부의 28㎓ 정책을 수정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정부는 미국·일본 등 해외 활용 사례를 좀 더 면밀히 살펴 최대한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이번 워킹그룹의 미국 방문은 실제 해외 현장의 구축 사례를 직접 확인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을 이끌어내겠다는 것이 목표다.
미국의 경우, 2년 전 28㎓ 등 밀리미터웨이브 대역을 상용화했다. 미국 최대 통신사인 버라이즌은 올해 3월 기준 87개시에 3만3000국의 29㎓ 대역 기지국을 설치했으며, 지난 2020년 열린 슈퍼볼 행사에서 이를 활용해 미국 전역 13개 미식축구 경기장에서 스마트폰 증강현실(AR) 서비스로 경기 실황부터 경기 정보 검색, 위치 검색 등의 실감 서비스를 시연하는데 성공한 바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 28㎓를 바라보는 시각이 서로 다른 만큼, 버라이즌을 비롯해 밀리미터웨이브를 구축한 미국 내 다양한 현장을 방문할 예정”이라며 “사실상 마지막 해외 현장답사인 만큼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철저하게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멀티호밍 시대, 정부 시청자 방송채널 선택권 확대해야”
2025-04-24 22:53:07[DD퇴근길] 김우빈 vs 손흥민 vs 뷔…저가커피 모델 승자는?
2025-04-24 17:06:44NS홈쇼핑, 25일 ‘천년동안 먹는 해양 심층수’ 론칭
2025-04-24 16:32:43[현장] “장관도 AI와 덩실덩실”…통신사 ‘AI 브랜드 전쟁’ 한바탕
2025-04-24 15:39:00유상임 장관 “SKT 해킹사태 조사 1~2개월 소요 전망”
2025-04-24 15:34:13위기의 유튜브…20주년 맞았지만 '끼워팔기' 논란과 '분할 위기' 그림자
2025-04-24 18:00:33法, '이정재 대주주' 아티스트컴퍼니 손 들었다…"신주발행, 문제 無"
2025-04-24 16:48:58넷플릭스 '탄금' vs 디즈니+ '나인퍼즐'…5월 韓 오리지널 격돌
2025-04-24 11:34:24문체부, 애니메이션 산업에 1500억원 투자한다…‘IP 강국’ 도약 시동
2025-04-24 11:29:42놀유니버스, NOL 브랜드 출범 기념 ‘NOL 페스티벌’ 국내편 개최
2025-04-24 10:27:55민주당 게임특위, 이스포츠 산업계 의견 경청… “국가 차원 정책 필요”
2025-04-24 10:0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