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한국교통연구원, 한국기상산업기술원과 정부 실증사업의 성공적인 수행과 2025년 관광·공공 서비스 노선 출범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컨소시엄은 2025년 관광·공공용 UAM 사업 개시라는 구체적 목표를 세우고 분야별로 역할을 분담, 상용화를 위한 실제 협업을 가속화한다.
우선적으로 고층빌딩 등 장애물 및 공역제한 이슈가 적은 비도심지역 관광노선 등 저밀도 사업을 통해 도심 상용화 이전에 사회적 수용성을 단계적으로 확보하는 교두보 역할을 할 전망이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해 1월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한국교통연구원과 컨소시엄을 결성하고 UAM 사업화를 위해 긴밀하게 협업해 왔다. 4개 주체는 정부 주도의 ‘UAM 팀 코리아’ 내에서도 각각 서비스·기체·인프라·연구분야를 대표하는 ‘K-UAM 드림팀’으로 상용화를 이끌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컨소시엄에 합류한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은 K-UAM 드림팀이 기상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응해 서비스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컨소시엄은 내년 국토교통부에서 주관하는 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사업에 참여한다. 비도심 환경의 전용 시험장에서 UAM 기체 안전성과 통합 운용성실증을 통해 각 사가 보유한 기술과 솔루션을 검증하고 상호 연동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2025년 관광·공공용 UAM 사업 개시를 위해 ▲SK텔레콤은 모빌리티 플랫폼 개발 및 운영, UAM용 통신 시스템 구축, 미국 조비애비에이션과의 협업을 통한 UAM 실증 강화 역할을 맡았다.
또, ▲한국공항공사는 UAM 이착륙장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기술, ▲한화시스템은 기체개발, 기체 정비, 항행·관제·ICT 솔루션, ▲한국교통연구원은 UAM 서비스 수요예측 및 대중수용성 확보방안 연구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은 UAM용 실시간 기상정보 및 예측서비스 제공을 담당한다.
아울러 UAM 교통관리 시스템은 SKT와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이 함께 협력해서 개발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유영상 SKT 대표는 “우리나라 환경에 최적화된 UAM 교통체계 및 고객 서비스를 정립하기 위해 단계별로 필요한 노력을 기울이고, 국내 최고 역량의 파트너들과 협업해 사업화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T클로즈업]‘미키17’로 재점화된 영화계 홀드백 문제...레거시의 단순 몽니일까?
2025-04-17 15:04:48CJ메조미디어, 디지털광고 특화 AI 어시스턴트 ‘앤써’ 출시
2025-04-17 10:40:40뉴 아이디, 현대자동차와 차량 내 FAST 서비스 출시
2025-04-17 10:23:24SKT,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상용망 실증…’네트워크AI’ 실현 속도
2025-04-17 09:41:43최민희 의원, 부총리급 '과기정통인공지능부' 격상 개정안 발의
2025-04-16 18:17:07강유정 의원 “게임 과몰입보다 저몰입이 문제… 유저 목소리, 대선 공약 적극 반영”
2025-04-17 16:14:36"경영권 매각 아닌 FI 교체"…카카오모빌리티, 매각설 전면 부인
2025-04-17 16:03:38누리하우스, '수출 확장 프로그램' 출시…"5000개 바이어에 한 번에 샘플링"
2025-04-17 16:02:46조승래 의원 “게임산업 숙제, 시대 따라 달라… 게임특위로 해답 찾을 것”
2025-04-17 16:01:02[취재수첩] 3600만원 ‘면죄부’ 논란이 던진 질문들
2025-04-17 14:2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