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콘텐츠

[2022 빅블러시대] TV도, 자동차도 'NFT'…모든 예술은 NFT로 통한다

빅블러는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존재하던 것들의 경계가 뒤섞이는 현상을 뜻한다. 코로나19 팬데믹 확산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전세계에서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빅블러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게임 룰이 바뀌고, 산업을 주도하는 기업이 달라지고, 비즈니스 영역 구분이 모호해졌다. 한국도 이에 빠르게 대응해 빅블러 시대 글로벌 주도권을 선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디지털데일리>는 2022년 임인년을 새해를 맞아 IT 기업들의 합종연횡·신시장 개척 등 위기 대응 전략을 살펴보고 변화에 대응하는 모습을 조명한다. <편집자주>

NFT를 볼 수 있는 스마트TV./삼성전자 제공
NFT를 볼 수 있는 스마트TV./삼성전자 제공

3~4년 전만 해도 블록체인 기술의 한 축 정도로 간주되던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이하 NFT)이 최근 모든 산업군에 도입되고 있다. 예술품이나 기념품, 인증서를 디지털로 발급할 때 반드시 NFT를 통하게 되면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모든 게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면서 NFT 도입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예술과의 결합 계획한다면? 반드시 'NFT'

NFT란 토큰 1개의 가격이 일정한 일반 가상자산과 달리, 토큰마다 고유 가치를 지니는 것을 말한다. 때문에 게임 아이템, 디지털 예술품 등 디지털 세상 속 재화에 희소성을 부여하는 데 활발히 쓰인다. 이렇게 탄생한 NFT들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활발히 거래되며, 거래기록은 모두 블록체인에 투명하게 기록된다.

이 같은 특징 덕에 디지털로 제작되는 예술품들은 대부분 NFT로 제작되고 있다. 진본 여부를 증명할 수 있을뿐더러 거래기록도 확인할 수 있고, 재판매되면 원작자에게 프리미엄도 돌아가기 때문이다.

또 희소가치라는 중요한 특징이 있어 간직하고 싶은 기념품이나 굿즈를 디지털화할 때도 NFT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디지털 비대면 시대의 NFT는 곧 예술이자 기념품 자체가 된 셈이다.

이에 예술 분야와 결합하고자 하는 모든 산업군은 NFT 도입을 고려하게 됐다. 가전 업계부터 엔터테인먼트, 모빌리티에 이르기까지 산업 분야도 다양하다.

삼성전자는 이번 CES 2022에서 NFT 플랫폼이 탑재된 스마트TV 라인업을 공개했다. NFT 플랫폼이 탑재된 TV에서 NFT 예술 작품을 미리 보거나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LG전자 역시 NFT 플랫폼이 도입된 제품군을 선보일 예정이다.

CES 2022에선 모빌리티 기업이 NFT를 도입하는 사례도 나왔다. ‘베트남의 삼성’으로 불리는 빈페스트는 전기차 업계에 진출하면서 혁신 기능 중 하나로 NFT를 내세웠다. 빈페스트의 신형 전기차를 ‘얼리버드’ 예약으로 구매하는 고객에게 NFT 인증서를 발급하기로 한 것이다. 특정 주문번호에 대한 소유권을 블록체인 상 기록으로 증명하는 게 장점이다.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선 사례가 더 많다. 아티스트의 굿즈가 예술의 한 영역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NFT가 토큰마다 고유 가치를 지니는 만큼, NFT로 판매되는 굿즈는 모두 가치가 다르고 복제가 불가능한 한정판이다. 이 한정판 NFT를 구매하는 팬에게는 아티스트와의 소통 기회 등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엔터사들이 욕심낼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에 엔터테인먼트사들이 잇따라 NFT 시장에 진입했다. 국내에서는 대형 엔터테인먼트사들이 사실상 모두 NFT 사업을 선언했다. SM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는 물론 방탄소년단(BTS) 소속사 하이브도 NFT 시장에 진출했다.

◆게임 내 아이템도 NFT…게임사는 곧 '블록체인 기업'

NFT가 예술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앞으로 출시될 게임이나 메타버스 플랫폼들은 모두 아이템을 NFT로 제작하는 시대가 도래할 전망이다.

메타버스에서 NFT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다. 메타버스 안에서 NFT가 ‘디지털 재산’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메타버스 안 캐릭터도 NFT로, 또 해당 캐릭터가 착용하는 패션 아이템이나 캐릭터가 활동하는 부동산도 모두 NFT로 제작할 수 있다.

이 NFT들은 게임 내 거래 플랫폼에서 거래할 수 있음은 물론, 메타버스 밖 다른 거래 플랫폼에서도 사고팔 수 있다. 연동되어 있을 경우엔 A게임 속 NFT를 B게임에서 활용할 수도 있다. 이 모든 과정은 공공거래장부 역할을 하는 블록체인이 있어 가능하다. 이런 장점 덕분에 메타버스를 개발하는 게임사 입장에서도 아이템을 NFT화하는 게 유리해진다.

사용자에게 게임을 통해 돈을 버는 ‘플레이 투 언(Play to Earn)’의 경험도 제공할 수 있다. 그동안 사용자는 게임 플레이를 위해 돈을 지불하기만 했으나,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경험이 NFT를 통해 가능해진 것이다. 사용자는 게임 내 활동으로 NFT를 얻고, 이를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NFT는 보통 이더리움(ETH) 같은 가상자산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가상자산을 거래소에서 현금화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에 전 세계 게임사에 NFT 도입 열풍이 불고 있다. 게임 업계와 블록체인 업계 간 경계가 크게 옅어졌다는 평가다. 게임사 내 블록체인 전담 부서가 생기는 경우도 많아 게임사가 곧 블록체인 기업이 됐다는 의견도 나온다.

국내에서는 위메이드는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를 기반으로 여러 NFT 적용 게임을 개발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출시한 ‘미르4’가 크게 흥행한 바 있다.

위메이드의 성공 사례를 지켜본 국내 게임사들도 NFT에 뛰어들었다. 대형 게임사인 엔씨소프트를 비롯해 컴투스, 펄어비스, 넷마블 등 유명 업체들이 게임 내 아이템을 NFT화하는 추세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