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박세아 기자] 우리 집 부엌에는 어떤 모양의 타일이 어울릴까. 직접 시공을 하지 않고도, 여러 매장을 둘러보지 않아도 터치 몇 번으로 다양한 타일을 적용한 내 부엌을 볼 수 있다면?
6일 오전 기자는 찬바람을 맞으며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약 982평 규모 한샘디자인파크 마포점에 도착했다. 외관상 다른 가구 매장과 큰 차이가 없어 보여 괜히왔나 후회한 것도 잠시, 곳곳에 녹아든 정보통신기술(ICT)을 체험하며 흥미로운 시간을 보냈다. 이곳은 가구업체 한샘이 3D, 가상현실(VR), 메타버스 등 각종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홈인테리어에 필요한 정보를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게끔 조성한 첫 매장이다.
기자의 눈에 가장 먼저 띈 곳은 360도 VR체험존이었다. 키친앤바스 매장에서는 VR스튜디오를 통해 전국 매장을 둘러볼 수 있게끔 조성돼 있었다. 키오스크에서 구경하고 싶은 매장이나 제품을 선택하면 대형 스크린에 화면이 나오는 방식이다. 이 화면을 터치하거나 드래그를 통해 화면 속 공간을 가보지 않고도 간접적으로 구석구석 체험해 볼 수 있다.
발걸음을 몇 발자국 옮겨 발견한 곳은 부엌 공간이었다. 이 곳은 부엌 벽면에 부착하는 타일을 가상으로 체험해볼 수 키친 컬러링 존으로, 키오스크에서 타일 패턴을 선택하면 전면에 설치된 가상 타일 디스플레이에 그대로 적용된다. 소비자는 이를 통해 선택한 타일과 공간의 어울림 등을 감안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의 단점을 보완하는 수단으로써 IT가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
전국 매장 중 몇 곳 밖에 설치되지 않았다는 도어 샘플 비교존도 샘플을 직접 키오스크 위에 올려놓으면, 전면의 화면에 해당 도어를 활용한 공간 인테리어가 눈앞에 펼쳐진다. VR기술이 가공과 추상을 뜻하는 메타화를 이끌고 있는 모습이었다. 실물보다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게끔 IT를 적용해 굳이 여러 매장을 돌지 않아도 공간에 어울리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게끔 만들어 놓은 것이다.
매장 관계자는 "키친 컬러링존의 경우 매장에 적용된 지 1년도 안된 기술"이라며 "고객들이 시각적으로 디자인의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어 호응이 좋다"고 설명했다. 또 "도어 샘플 비교존은 전국 매장에서 몇 곳 없다"며 "고객들이 직접 많은 도어 샘플을 만져보고 인테리어까지 엿볼 수 있어 선택시 도움을 받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다른 공간에서는 마음에 드는 붙박이장을 당겨서 꺼내면, 화면에 해당 붙박이장을 활용한 공간인테리어가 보여지기도 했다. 겹겹이 정렬된 도어 측면에 큰 스크린을 통해, 도어만 봤을때 어떻게 인테리어를 할 지 상상하기 어려운 사람들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느껴졌다. 두 가지 도어를 한 번에 꺼내면 이미지와 금액 등 정보가 동시에 보여 비교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기술적용으로 보였다. 디지털 소파 전문존과 디지털 매트리스 체험존에서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화면과 음성으로 제공한다. 재질과 스프링 강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끔 조성됐다.
3D 설계 프로그램으로 3차원 가상 공간을 구현해 집안 리모델링에 필요한 인터레어와 가구, 소품 등을 미리 설계해 볼 수도 있다. 대체로 매장 곳곳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오프라인 공간의 한계를 뛰어 넘으려고 했다는 점에서 합격점을 줄 만 했다.
다만, 이러한 기술 체험이 아직까지 진정한 의미의 메타버스 체험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해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3D설계 프로그램은 있지만, 헤드셋 방식의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기기(이하 HMD) 기반의 몰입형 메타버스 플랫폼까지는 아니어서다.
메타버스 기술 업체의 한 관계자는 "사실상 HMD 연동을 통해 조금 더 몰입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도입은 공간 제약, 디바이스 준비 등으로 인해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다"며 "기술구현은 가능한 상태지만, 아직 여러 상황적 제약에 따라 3D시뮬레이션 정도 수준을 요구하는 업체가 많다"고 언급했다.
한샘 관계자는 "고객 집의 설계도면을 끌어와 3D 설계프로그램으로 3차원 가상공간을 구축하고, 이 안에서 각종 가구나 소품을 배치하는 형태는 메타버스 세계에 한층 더 가까워진 모습"이라며 "향후 해당 기술을 적용할 매장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DD퇴근길] "세상에서 가장 얇은 폰"…삼성, '갤럭시 언팩'서 보여준다
2025-05-12 17:17:23[컨콜] SKT, 대규모 고객 이탈에 “신뢰 확보 위한 비용 지불 불가피”
2025-05-12 17:08:02[컨콜] 정우진 NHN “1분기 커머스·콘텐츠·광고 재정비…선택과 집중”
2025-05-13 09:33:27NHN, 올 1분기 영업익 276억원…전년비 1.3%↑
2025-05-13 08:56:58라이즈, 엠넷플러스 오리지널 예능 '숨바꼭질' 세 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5-12 17:54:22kt밀리의서재, 창사 이래 분기 최대 실적…'텍스트힙' 열풍 통했나
2025-05-12 17:54:08구글, 또 다시 지도 반출 요청…“국가 경쟁력 위태” 산업계·학계 우려
2025-05-12 17:5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