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예상치 2억8400만대…폴더블폰 1200~1300만대
[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올해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연초 예상치보다 줄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로 전체적인 수요가 하락했다. 반도체 및 부품 공급난 등 악재가 겹쳤다. 그렇지만 내년에는 수요와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올해보다 늘어날 전망이다.
21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2022년 스마트폰 전망치를 공개했다.
◆2021년 13억9200만대, 당초 예상치보다 하락…내년 반등=올해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연초 전망치인 14억8000만대보다 위축된 13억9200만대로 전망된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코로나19 영향 ▲경기 침체로 인한 정보기술(IT) 기기 수요 둔화 ▲부품 공급난 심화 등으로 성장세가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내년 전망치는 14억9200만대다. 전년대비 7.2%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 이전 수준인 2019년 14억7900만대보다 높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1분기까지는 반도체 및 부품 부족 영향을 받지만 2분기부터는 해소될 것으로 봤다.
분기별 전망치는 ▲1분기 3억3800만대 ▲2분기 3억5100만대 ▲3분기 3억8600만대 ▲4분기 4억1700만대다. 하반기에 판매가 늘어나는 '상고하저'가 뚜렷하다.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폰 예상치는 8억700만대다. 전체 스마트폰 판매의 54%에 달한다. 인도의 경우 2022년 상반기 주파수 경매 이후 2022년 말 5G가 상용화된다. 이로 인한 수요가 폭발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삼성전자 2억8400만대, 폴더블폰 비중은 4~5%=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의 예상 실적을 2억8400만대로 책정했다. 삼성전자가 목표한 3억2000만대보다 3600만대 가량 낮다. 올해 인도와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 주요 시장에서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가 약진하는 등 경쟁이 심화하며 점유율이 일부 하락했다. 이런 기조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해킹피해 발생시 100%책임…유심보호서비스 믿어달라”
2025-04-27 19:30:40'유심보호서비스' 관련 피싱·스미싱 공격 등장…정부, 2차피해 주의 권고
2025-04-27 17:35:21주말동안 ‘쑥’ 빠진 SKT 가입자…경쟁사 마케팅에 ‘진땀’
2025-04-27 16:56:59SKT 해킹사고에…한덕수 대행 "조치 적절성 점검해달라" 긴급지시
2025-04-27 15:28:35[랜선인싸] 보석 감정으로 숏폼 평정…서울 필수 코스된 '링링언니'
2025-04-27 15:28:17[툰설툰설] 각자의 공간, 피어나는 사랑…'이섭의 연애' vs '청춘 러브썸'
2025-04-27 13:37:41크림 리퍼비시 서비스, 올 1분기 거래량 63%↑…중고 테크 소비 ‘쑤욱’
2025-04-27 12:32:58주목받는 추억의 IP,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도 통할까
2025-04-27 11:09:18구글 모회사 알파벳, 1분기 '깜짝 실적'…광고 부문 성장 견인
2025-04-25 17:09:06경주 개관 미디어아트 전시관, '덱스터' 자회사가 만든다
2025-04-25 16:3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