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김도현 칼럼

[취재수첩] 韓 배터리, 수주잔고 400조원 시대 온다

- 경쟁국 中·日, 정부 주도 아래 배터리 생태계 구축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폭풍 성장’하는 분위기다. 환경 이슈가 전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르면서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전환 속도가 빨라진 영향이다.

국내에서는 배터리 3사를 필두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은 유럽 미국 중국 등 해외 생산거점에 배터리 생산라인을 증설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은 최근 2021년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수주잔고가 각각 180조원, 130조원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삼성SDI는 공식 발표하지 않았으나 80조원 내외로 추정된다. 3개 업체 모두 1년 새 수십조원이 확대된 셈이다.

수주잔고는 고객사 주문을 받은 물량과 미래에 팔릴 물량을 합쳐 집계한 수치다. 따라서 수주잔고로만 샴페인을 터트리기는 이르다. 다만 향후 사업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소임은 분명하다. 배터리 3사의 총 수주잔고는 400조원에 육박한다. 우리나라 경제의 버팀목인 반도체 못지않은 규모로 몸집이 커졌다.

현재 배터리 업계는 한·중·일 삼국지 구도다. 시장이 확장하는 만큼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과 일본은 정부 주도하에 전 분야의 생태계가 갖춰지고 있다. 두 나라는 배터리 소재부터 최종 제품까지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한 상태다.

반면 한국은 배터리 기술력 대비 인프라가 미비한 상황이다. 여전히 주요 원료 대부분은 중국과 일본으로부터 조달한다. 제2의 사드, 제2의 수출규제 등이 배터리 분야에서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다.

업계에서는 우리나라도 정부 지원 아래 배터리 소부장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최근 ‘K-배터리’ 강화 전략이 발표됐으나 경쟁국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 지배적인 평가다.

아직 배터리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나 어느 시점부터는 수요공급 균형이 맞춰질 전망이다. 이 시점부터는 메모리 시장과 유사한 치킨게임이 벌어질 수 있다. 정부와 기업 간 협력이 없다면 살아남을 수 없을 구조다. 정부는 2030년 배터리 1위 목표를 내걸었다. 이에 합당한 지원책이 추가되지 않는다면 앞으로 전개될 배터리 전쟁에서 승산은 없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