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솔루션

[RPA 2021] 투비소프트 “‘RPA 커넥터’로 RPA 도입 효과 극대화”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많은 고객들이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를 도입할 때 기본적으로 객체 인식을 지원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자바 기반이나 자체적으로 컴포넌트를 개발한 소프트웨어(SW)는 객체 인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RPA 커넥터가 답입니다.”

4일 투비소프트는 <디지털데일리>가 온라인 세미나(웨비나) 플랫폼 DD튜브에서 개최한 ‘[RPA 2021] 뉴노멀 시대, 인텔리전스 업무 자동화 전략’에 참여해 ‘RPA 커넥터 도입을 통한 효과적인 RPA 구현 및 운영방안’을 발표했다.

발표를 맡은 박재오 팀장이 특히 강조한 것은 ‘객체 인식’이다. 그는 “객체 인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RPA의 도입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개발공수가 증가하고 운영시 오류가 늘어나는 경우도 많다. 사람이 직접 하는 것보다도 속도가 느린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RPA에서 객체 인식이 안될 경우 사용하는 방식은 이미지 인식, 좌표 입력, 키보드 입력, RPA 자동화 대상 배제 등이다. 하지만 이미지 좌표와 키보드 입력을 통해 항목 입력을 개발할 경우 이미지 텍스트 추출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때 오류를 처리하기 위해 예외처리를 항목마다 추가해야 하므로 RPA 도입 효과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투비소프트의 RPA 확장 솔루션 ‘RPA 커넥터’다. RPA 커넥터는 투비소프트의 사용자환경/경험(UI/UX) 플랫폼 기반 시스템 구축 기업에 객체 단위 접근 및 객체 정보제공과 화면 내 숨은 데이터의 직접 참조 기능을 제공한다.

RPA 커넥터는 로봇 사용자의 요청에 대해서만 대응하도록 구성돼 일반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앱) 사용시에는 영향이 없도록 설계됐다. 유아이패스, 삼성SDS 브리티웍스, 체크메이트, 앤트봇 등이 RPA 커넥터를 지원한다. 현대카드, 한국투자증권, 농협생명 등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 RPA 커넥터 도입 레퍼런스를 다수 확보한 상태다.

박 팀장은 “RPA 도입 과정에서 가장 먼저 살펴봐야 하는 것은 해당 솔루션이 객체 인식을 지원하는지 여부다. 만약 객체 인식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대상 앱이 투비소프트 UI/UX 제품인지, RPA 솔루션이 RPA 커넥터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살핀 뒤 도입하면 된다”고 조언했다.

<이종현 기자>bell@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