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IT

“4인실 임대료가 월 10만원” 스타트업의 보금자리, 서울블록체인지원센터 가보니

서울블록체인지원센터의 공용 라운지.
서울블록체인지원센터의 공용 라운지.

[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긴장감이 다시 높아져서인지 서울블록체인지원센터(이하 센터)의 공용 라운지는 예상했던 것 보다는 한산했다. 출근한 센터 직원들도 라운지가 아닌 사무실 안에 있기 때문이었다.

그래도 종종 노트북을 든 블록체인 스타트업 직원들이 하나 둘 보였다. 지난 19일, 서울블록체인센터를 찾았다. 지하철 공덕역 부근 전망이 내려다보이는 센터는 스타트업에겐 최적의 장소였다.

오는 12월 개소 1년을 맞는 서울블록체인지원센터는 이제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의 성장 발판이 됐다. 비어있던 사무실은 어느새 35개 스타트업으로 가득 찼고, 이 스타트업들이 고용한 직원은 170명에 달한다. 반려동물 개체인증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블록펫, 가상자산 자금세탁방지 솔루션을 만드는 유스비 등이 입주해있다.

센터에 입주한 뒤 스타트업들이 유치한 투자 규모도 8억원에 달한다. 매출을 올리는 스타트업도 하나 둘씩 등장해 합치면 30억원대 매출을 올리고 있다. 11월에 신규 입주 기업을 모집할 예정이지만, 이제는 자리가 없어 얼마나 뽑을 수 있을지 걱정일 정도다.

임명수 서울블록체인지원센터장은 <디지털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입주를 1년 연장할 수 있어 현재 연장 심사 중”이라며 “연장 심사에 떨어지는 기업이 별로 없으면 티오(T/O)가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장한 기업들의 입주 기간이 끝나는 내년에 티오가 더 많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블록체인지원센터 휴식공간.
서울블록체인지원센터 휴식공간.
이처럼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이 센터로 몰려드는 이유는 서울시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이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불리는데도, 정작 관련 스타트업들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기회가 부족했다.

서울시는 달랐다. 지난 2018년 일찌감치 블록체인 시범사업을 시작한 뒤 각종 행정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온 경험이 있다. 핀테크랩, 창업허브 등을 통해 이어온 청년 창업 지원 사업을 블록체인 분야에 적용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임 센터장은 “서울시는 마포와 여의도를 거점으로 삼아 청년 창업을 키운다”며 “마포에 창업허브를 두고, 여의도에 핀테크랩을 뒀기 때문에 마포에 블록체인센터도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로부터 자금을 받은 센터는 블록체인 스타트업에게 공간, 멘토링, 사업 진단 등 사실상 모든 것을 지원한다. 공간 임대료가 조금 필요하지만 매우 낮은 수준이다. 4인실을 이용할 경우 임대료는 10만원 정도다.

또 특허나 마케팅에 사용할 수 있도록 업체마다 500만원 한도로 사업화 지원금도 제공한다. 임 센터장은 “자금은 모두 서울시에서 나오고, 6개월마다 500만원씩 지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 자금으로 운영되다보니 입주사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며 “스타트업 대표들은 주거지원사업 대상자라 주거공간도 지원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 지원책이 다양하지만 센터가 준비하고 있는 게 한 가지 더 있다. 스타트업들이 외부에서 투자를 유치하지 않아도 센터 내에서 유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근 센터는 ‘블록체인 파트너스’를 모집했다. 블록체인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민간 액셀러레이터나 벤처캐피탈(VC)을 ‘파트너스’로 두고 센터에 입주하게끔 하는 사업이다.

블록체인 파트너스는 센터 입주 기업을 선발하는 데 참여할 수 있다. 또 센터가 마련해둔 기반을 바탕으로 우수 스타트업을 발굴할 수 있다.

임 센터장은 “사무실 세 곳을 비워서 VC를 들이려고 한다”며 “센터 내에서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향후에는 입주한 VC들이 추천하는 업체를 센터에 입주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현영기자> hyun@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