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정부가 ‘전국민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에 세금 500억원을 붓는다. 코로나 19 사태로 무인‧비대면 중심 경제가 도래하면서, 고령층이나 장애인 등 디지털 비사용자는 불편을 넘어 생존의 문제에 직면했다는 판단에서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2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언론 브리핑을 갖고 디지털 뉴딜의 각 사업과 기대효과를 발표했다. 디지털 뉴딜은 지난 14일 문재인 대통령이 발표한 ‘한국판 뉴딜’의 한 축으로,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총 44조 8000억원을 투자해 일자리 90만 3000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전국민 디지털 역량 교육은 디지털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집에서 가까운 생활 SOC(사회간접자본)를 디지털 역량센터로 운영 ▲교육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디지털 종합역량 교육 ▲디지털 강사 및 서포터즈 운영 등이 교육의 주된 내용이다. 올해 실시될 교육에는 2020년 추가편성 예산 503억원이 쓰이며, 2021년부터 2022년까지는 약 1000억원이 편성된다.
정부만 NIA 디지털포용본부장은 “코로나가 터지면서 기존에도 있었던 디지털 격차가 이제는 생존의 문제에 도달하게 됐다”며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집에서 가까운 곳에 편하게 가서 물어보고, 도움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교육 시작 배경을 밝혔다. 이어 “기존에는 디지털 기기나 프로그램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려주는 데 집중했는데, 이번엔 종합적인 디지털 소양을 기를 수 있게끔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주민센터, 도서관 등 국민이 접근하기 쉬운 생활 SOC를 디지털 역량센터로 선정해 운영한다. 매년 1000개소를 운영할 계획이며, 역량센터들을 관리하는 거점센터와 거점센터들을 관리하는 총괄거점센터도 둘 예정이다. 총괄거점센터는 17개 광역자치단체에 하나씩 설치된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이번 주말 약 90만개 유심 확보한다…“QR 유심재설정 준비 중”
2025-05-16 11:09:11“엄마아빠, 저예요” LGU+, AI로 순직소방관 목소리 복원
2025-05-16 09:25:30미디어산업 진흥 ‘마지막 기회’…“‘청와대 미디어수석’ 신설해야”
2025-05-15 17:43:18[DD퇴근길] 테무 개보법 위반, 13억대 과징금 철퇴…"협조 불충분"
2025-05-15 17:28:05펄어비스 검은사막, 10주년 기념 LP 레코드 글로벌 발매
2025-05-16 11:08:21"곽튜브와 떠나는 1보 1식 먹방여행"…여기어때, 버킷팩 출시
2025-05-16 10:39:43시프트업 '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프리오더 시작…내달 12일 정식 출시
2025-05-16 09:49:55[새 정부에 바란다④] "규제 칼날 피할까"…'진흥'에 목마른 플랫폼업계
2025-05-16 07:30:00[새 정부에 바란다③] 디지털 주권 vs 통상 리스크, 한-미 협상 갈림길에선 韓
2025-05-16 06: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