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보안

공공기관 ‘윈도 종속’ 벗어나자··· 개방형 OS 로드맵 수립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올해 말부터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PC 운영체제(OS)를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에서 ‘개방형 OS’로 점진적으로 교체한다. 10월 시범사업을 통해 행정안전부 공무원부터 일부 도입해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2월 ‘개방형 OS 도입전략 수립’을 시작으로 10월부터는 행안부 일부 PC에 개방형 OS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리눅스를 기반으로 제작되는 개방형 OS는 국내 데스크톱 PC OS 시장의 ‘윈도 종속’을 벗어나기 위해 개발됐다. 국내에서는 ‘하모니카 OS’, ‘구름 OS’, ‘티맥스 OS’ 등의 개발 사례가 있다.

개방형 OS가 우선 적용되는 것은 공무원의 ‘인터넷용 PC’다. 현재는 보안을 위해 공무원 1인이 행정업무용 PC와 인터넷용 PC 등 2대를 사용 중이다. 이중 인터넷용 PC를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 PC로 구축할 예정이다. 이 경우 공무원은 물리적인 PC는 업무용 윈도 PC 1대만 사용하고 필요할 때만 가상화된 개방형 OS에 접속해 이용하게 된다. 부분적인 개방형 OS 사용을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활용을 늘릴 방침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공기관 개방형 OS 도입을 통해 ▲연간 약 700억원 의상의 비용 절감 ▲국내 SW 기업의 경쟁력 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하승철 행정안전부 과장은 “그간 다수 웹사이트와 각종 소프트웨어(SW)가 윈도 환경에서만 작동하던 문제 때문에 개방형 OS 도입을 적극 추진하지 못했다”며 “그러나 최근 국내 기업이 성능과 기술지원체계가 개선된 다양한 개방형 OS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 활용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또 웹사이트 호환성 개선도 개방형 OS 추진 배경 중 하나다. 행안부는 올해 공공 웹사이트에 공인인증서, 플러그인을 완전히 제거할 예정이다. 이 경우 리눅스 기반의 개방형 OS가 가지고 있던 최대 약점 중 하나인 웹사이트 호환성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장혁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장은 “개방형OS 도입을 통해 특정 업체의 종속을 해소하고 예산도 절감하겠다”며 “개방형 OS에 대한 정부 수요가 관련 국내 기업의 시장 참여와 기술 투자의 기회가 돼 민간 클라우드 시장 확대와 새로운 SW 생태계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연말 윈도7 기술지원서비스 종료(EOS)를 대비해 공공기관 PC 대다수를 윈도10으로 업그레이드했다. 일각에서는 “추진할 거면 윈도10 PC를 사기 전에 해야 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에 하 과장은 “공공재산의 경우 ‘내구연한’이 지정돼 있다”며 “PC의 내구연한은 5년이다. 내구연한이 끝나는 시기에는 새로운 PC를 구매해야 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내구연한 동안 윈도 PC를 사용하면서 개방형 OS의 수준을 높이고, 내구연한이 지난 PC는 윈도 대신 개방형 OS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종현 기자>bell@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